케이블TV 연간 채널편성계약 기간을 맞아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간에 팽팽한 긴장이 감돌고 있다.
예년에 비해 경기상황이 좋지 않은데다 SO의 경쟁자인 인터넷(IP)TV가 출범해 변수가 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SO와 PP의 수신료 배분율을 25%로 못 박으면서 눈치 보기도 심해 조기 협상타결이 쉽지 않다는 관측도 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SO와 PP는 지난달 말 본격적인 연간 채널편성 계약협상에 돌입했다. 협상은 개별 SO와 PP 간에 이뤄진다. PP로서는 내년에 수신료를 얼마나 받고, 얼마나 좋은 위치(채널번호)에 자리 잡는지가 관건이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산하 SO협의회와 PP협의회는 그동안 관행적으로 4∼5개월씩 걸리던 협상을 연말까지 마무리짓기로 자율 합의해 놓은 상태다. 협력과 양보를 통해 조기에 협상을 마무리 짓고 본사업에 충실하자는 뜻이다.
하지만 이달 초 방송통신위원회가 SO에게 방송매출(수신료)의 25% 이상을 PP에게 지급하는 것을 SO 재허가 조건으로 못 박으면서 이상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SO업계 관계자는 “채널편성 협의를 진행하던 PP 가운데 다수가 일단은 좀 두고 보자는 식으로 발을 빼기 시작했다”며 “SO와 PP업계가 방송수신료 배분 비율을 20%로 합의한 가운데 방통위가 새로운 조건을 내놓으면서 협상 전략의 전면 재수정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콘텐츠를 공급하는 PP업계는 일단 수익 확대를 기대하면서도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PP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추가 수신료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개별 채널편성계약에서 PP는 절대약자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협상의 주도권을 갖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올해 협상에서 SO 측은 △케이블TV 디지털 전환 비용이 늘어나는 점 △경제상황 악화에 따른 광고 수익 감소 등을 주요 쟁점으로 내세우며 협상에 나서고 있다. PP들은 SO와 협상을 조기에 마무리 짓고 IPTV 참여를 검토하려는 움직임이었으나 수신료 배분이 조정되면서 다른 사업자들의 협상을 지켜보자는 ‘장고파’로 돌아섰다.
프로그램 도중 일정비율의 지역 광고시간을 할당하는 ‘큐톤 광고’에 대해서도 ‘PP가 수익을 가져가야 한다’는 쪽에서 ‘전면 재논의하자’로 최근 방향이 바뀐 것으로 전해졌다.
케이블TV방송협회 관계자는 “채널편성계약은 사업자 간의 개별 문제로 협회가 크게 개입할 수 없다”며 “다만, 빠른 협상 타결을 이루고 SO와 PP 모두 사업 자체에 집중하자는 기존 취지가 훼손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