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혁신이 답이다](4) 과거와의 단절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바꿔야할 KT 기업문화 및 조직운용 및 KT 기업, 사업현황

 남중수 전 사장의 중도하차 이후 KT 변화를 요구하는 안팎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과거 민영화를 계기로 KT가 공기업으로서 구태를 탈피하려고 노력했던 것처럼 일련의 사태를 계기로 ‘위기를 기회로 삼아’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KT가 투자규모를 매출액 대비 30%대에서 20%대로 축소한 지난 2001년부터 국내 IT 경기가 급격히 퇴조했다는 평가는 여전히 회자되고 있다.

 KT가 투자를 꺼리는 한 국내 IT산업의 활성화는 요원하다는 지적이다. KT가 통신을 넘어 우리나라 IT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막중한 비중을 헤아릴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가운데 KT는 지난 2002년 민영화된 이후 6년이 지나도록 ‘공기업’ 시절의 잔재를 완벽하게 털어내지 못했다는 비난에 시달리곤 했다.

 공기업으로 출발한 KT가 민영화 이후에도 권위적이고 배타적인 문화와 파벌주의, 비대한 조직 등 공기업의 속성을 완전히 떨치지 못했다는 것. 권위적이고 배타적인 KT 조직문화는 입찰제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일정 기술 요건을 갖춘 기업을 대상으로, 단순한 최저가 낙찰 방식을 적용하는 현행 입찰제도는 KT가 ‘원가 절감’이라는 명목 아래 절대적인 우위를 확대·재생산하는 구조다. 이른바 ‘슈퍼 갑(甲)’으로만 군림한다는 지적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낙찰가의 10%가 리베이트라는 소문도 끊이지 않고 있다.

 KT가 공기업 시절에는 협력업체와의 상생 의지와 노력이 확고했지만 민영화 이후에는 주주의 눈치만 보면서 ‘선언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혹평과 ‘권위의식’만 키우고 있다는 비난이 제기될 정도다.

 민간기업과 비교해 비대하다는 평가를 받는 조직·인력은 ‘고비용 저효율’이라는 KT 비판과 시비의 출발점이다. 특히 학연과 지연 등 파벌주의를 혁파해야 고질적인 줄서기 문화를 쇄신할 수 있다는 주장은 KT 내부에서 제기될 정도다. 불공정인사 논란과 업무 공백 등 그간 보이지 않은 파벌 간 충돌로 인한 피로감이 임계점에 이르렀다는 방증이다.

 안팎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KT 또한 억울하고 말 못할 사정이 있다. 정치권과 고위 공무원이 이른바 ‘전문임원’이라는 명목하에 낙하산으로 내려오는 일이 다반사다. KT 임직원들은 “공기업에나 가능한 일이 민간기업 KT에서 아직도 비일비재하다”며 허탈해하고 있다. 남 전 사장이 이 같은 관행을 근절하고자 노력했지만 더 이상 기대할 수 없게 된 것도 KT 임직원의 상실감을 더해주는 대목이다.

 과거의 잔재를 벗어던지지 못한 KT가 일련의 사태를 반성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넘어 더욱 근본적인 혁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는 이유다. 이르면 다음 주에 추천될 예정된 신임 사장의 첫 번째 ‘미션’이 무엇인지 자명하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