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 통합되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의 영문이름인 ‘KISA’라는 브랜드를 살리자는 의견이 업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미 세계적으로 KISA라는 브랜드가 정보보호 전문기관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혔다는 것이 그 이유다.
KISA는 R&D·침해대응·시장조사 등 정보보호와 관련된 일련의 활동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이 세계적으로 없는데다 인터넷인프라가 앞서 있는 덕에 더욱 부각돼왔다.
이처럼 국제적인 인지도가 높은 KISA가 사라지면 국제표준화 등의 활동을 하는 데 큰 혼란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이 때문에 법에 규정되는 이름을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 하더라도, KISA라는 브랜드를 살릴 수 있도록 영문 이름에는 ‘정보보호(Security)’를 넣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동안 KISA는 우리나라에 이어 정보보호 문제를 겪고 있는 나라에 정책기관으로서 모델이 돼왔다. 국제표준화 활동도 활발히 펼쳐 2000년부터 지금까지 총 12건이 국제표준에 채택됐다.
올 한 해에는 인터넷전화·개인정보·USN 보안 등으로 표준화 영역이 확대되면서 23건의 국제 기고서가 채택됐다. 또, 8명의 연구원이 국제표준 에디터로 선정되는 등 국제적으로 이름을 날렸다. 인도·태국 등 해외 장차관 인사는 한 달에 한두 번꼴로 KISA를 방문하며 대응 체계를 배워가기도 했다.
김세헌 KAIST 교수는 “정보보호 관련 문제들이 외국보다 앞서 발생하다 보니 정보보호 관련 정책을 세우고 조정할 수 있는 정책기관 KISA를 만든 것”이라며 “KISA는 보안 사고를 경험하는 많은 나라에 모델이 되고 있어 브랜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