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지상파DMB 활성화 급하다

지상파DMB가 첫 전파를 쏜 지 벌써 3년이 됐지만 아직도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단말 누적 판매대수가 1500만대에 육박하고 있지만 정작 사업자들은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2005년 12월 출범할 때만 해도 8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했지만 누적 결손이 1000억원이 넘는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1400억여원을 투입했지만 수익은 270억여원밖에 안 된다. 그야말로 속 빈 강정이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지상파DMB의 출발은 화려했다. ‘손안의 TV’ ‘개인방송시대 개막’ 같은 화려한 단어가 등장했으며 개국 당시 “정보통신 강국의 위상을 세계에 드높인 쾌거”라고 강조됐다. 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 현실은 초라하다. 올 5월 말 기준 지상파DMB는 900억여원, 위성DMB는 2700억여원의 적자를 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고급 콘텐츠 확보와 DMB가 안 터지는 지역을 없애기 위한 투자는 엄두를 못 내고 있다. 지상파DMB가 장밋빛 전망과 달리 참담한 현실에 직면하게 된 데는 무료로 제공되는데다 광고 수입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9월의 한 조사에 따르면 지상파DMB는 시청률 면에서 케이블TV에 비해 7분의 1 정도 낮지만 광고 매출은 무려 80배나 적었다. 물론 지상파DMB의 광고 매출이 낮은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예컨대 광고 효과가 미흡하다거나 이로 인한 낮은 광고 단가 등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문제는 구조적 이유도 한몫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지상파DM의 광고는 지상파방송사업자에 대한 규제가 그대로 적용돼 뉴미디어로서의 차별화가 불가능하며, 또 방송법에 의해 한국방송광고공사가 독점적 광고영업권을 갖고 있어 사업자 스스로의 운신의 폭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을 그대로 두고서는 지상파DMB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무료 서비스도 국가경쟁력 향상과 소비자 편익 차원에서 한번 더 생각해봐야 한다. 지상파DMB는 공적 목표에 부합하는 보편서비스라는 이유로 무료 제공되지만 이는 결국 사업자의 경영 악화로 이어져 서비스 지역 확대와 양질의 콘텐츠 확보 같은 투자를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는 전국 어디서나 시청할 수 없고 정부가 애초 기대한 뉴미디어로서의 새로운 성장동력도 언감생심이 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지상파DMB특별위원회는 9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개국 3주년 기념 정책 토론회를 열고 개통비를 받는 형태의 유료 수익모델을 제시, 시선을 모았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서비스 유료화보다는 광고체계 조정 등이 더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나와 지상파DMB 서비스 유료화가 컨센서스(사회적 합의)를 얻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줬다. 현재 정부는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가 나서 DMB시장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대증적 처방보다는 근본 대책이 나와야 할 것이다.

 DMB는 사우디아라비아와 프랑스가 우리의 기술을 받아들인 데 이어 아시아·유럽·아프리카 등 20여개국도 큰 관심을 보일 만큼 또 다른 수출 아이템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국내에서는 사업자의 경영난으로 시장이 침체돼 있으니 딱하기 그지없다. DMB산업이 내수 활성화는 물론이고 수출 효자상품이 되도록 모두의 지혜를 모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