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 지역에서 인터넷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규제 압력이 거세지는 가운데 야후가 검색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하는 사용자 식별정보의 보존기간을 대폭 축소하는 파격적인 정책을 내놨다. 이에 따라 동종 메이저 검색서비스 업체들인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에 미칠 영향과 대응전략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13개월에서 90일로=야후는 17일(현지시각)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규제당국과 시민단체의 우려에 대응해 IP주소 등 검색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 식별정보의 보존기간을 기존 13개월에서 3개월(90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32개로 구성된 IP주소 정보는 90일이 지나면 마지막 여덟 자리가 삭제되며 검색로그와 관련된 쿠키 데이터, 이름·전화번호·주소·주민번호 등 개인식별이 가능한 정보 등도 공개되지 않는다. 야후는 향후 이 같은 정보관리 정책을 페이지뷰·광고뷰 등 다른 형태의 데이터로도 확대할 방침이다.
앤 토드 야후 정책담당 부사장은 “더이상 이슈가 되지 않도록 기간을 크게 단축하기로 결정했다”며 “이를 통해 야후의 서비스가 프라이버시 침해를 우려하는 사용자들에게 더 큰 매력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구글·MS로 옮겨지는 시선=야후의 새로운 데이터 보존정책은 미국 내 주요 검색엔진 업체가 내놓은 것들 가운데 가장 강력하다. 더욱이 일부 프라이버시 옹호자들이 인터넷 업체들의 데이터 보존과 온라인 광고를 규제할 법안 제정을 위해 새로운 압력행사를 계획 중인 가운데 나온 조치라는 점에서 향후 구글·MS 등 다른 경쟁사의 기간 정책에 적잖은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 미 의회 통신소위원회 의장인 에드워드 마키 민주당 하원의원이 야후의 새로운 프라이버시 보호 기준을 두고 칭찬에 나섰다. 마키 의원은 “다른 온라인 업체들에도 최소한 야후가 발표한 수준에 맞춰줄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구글은 지난 9월 보존기간을 9개월로 잡고 이 기간이 지난 검색 관련 개인정보를 삭제하기 시작했다. MS의 보존기간은 18개월로 가장 길다.
◇긍정적이지만 부족하다=프라이버시 옹호론자들은 일단 야후의 이 같은 조치를 올바른 방향의 결정으로 반기면서도 “IP주소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식은 프라이버시 보호에 충분치 않다”고 지적하고 전체 IP주소를 삭제할 것을 주문했다. 현재 MS는 전체 IP주소를 삭제하는 반면에 구글은 마지막 여덟 자리만을 지우고 있다.
마크 로텐버그 전자프라이버시정보센터(EPIC) 이사는 “완전히 익명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며 “검색 서비스 업체들이 유럽 당국의 주문처럼 모든 IP주소를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규제당국과 프라이버시 옹호론자들의 압력에 메이저 검색업체들은 타깃 광고와 최적의 검색 등 보다 나은 서비스를 위해 부분적으로 개인정보를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야후가 이번 조치와 관련해 “새 정책이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나서 나머지 업체들이 어떤 대응 논리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브랜던 린치 MS 프라이버시 담당은 “MS는 기간보다 방식이 더 중요하다고 믿으며 모든 검색 엔진에 고도의 표준이 채택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정환기자 victo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