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브라우징 올해엔 좀 뜰까?[보류]

풀브라우징 올해엔 좀 뜰까?[보류]

휴대폰 화면에서도 PC의 인터넷 화면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풀브라우징 서비스, 올해는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까?

풀브라우징은 지난해부터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본격적으로 선보이면서 기대를 모았던 서비스지만 아직 시장 저변은 업계의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풀브라우징 활성화에 대한 노력이 다방면에서 가시화되면서 시장 저변 확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가장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곳은 유선 웹서비스에서 강력한 힘을 구가하고 있는 포털사업자들이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7일 자사의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다음’을 휴대폰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다음 풀브라우징 서비스’를 개시했다.

이를 통해 PC에서 이용하던 다음 사이트를 휴대폰에서 이용했을 시 나타나던 속도저하 및 호환성 문제를 해결했다.

이번에 선보인 ‘모바일 다음 풀브라우징 서비스’는 풀브라우징폰의 화면사이즈에 사이트 크기를 최적화 해 글자의 깨짐 현상이나 오류를 줄인데다. 사이트 오픈 속도도 기존 7~8초에서 2~3초 대로 대폭 줄였다.

KTH의 경우 이에 앞서 지난해 9월 자사의 인터넷 포털 ‘파란’의 풀브라우징 버전인 ‘파란 미니’를 선보이기도 했다.

‘파란미니’ 역시 기존 풀브라우징의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느린 로딩속도, 좌우 스크롤 및 줌인/아웃, 액티브X 및 플래시 구동의 문제점을 해소해 휴대폰 웹 환경에 최적화를 구현하고 있다.

네이버를 운영하고 있는 NHN과 네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SK커뮤니케이션즈도 아직 풀브라우징 전용 사이트 제작 작업에 나서진 않은 상태지만, 휴대폰 환경에서의 서비스 이용 편의성 개선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NHN의 경우 TF팀을 구성해 네이버의 모바일 검색과 커뮤니티 그리고 UI부분에서의 편의성 제고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

최근에 있었던 미니 SNS 사이트 ‘미투데이’ 인수도 모바일 커뮤니티 강화 차원에서 추진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SK커뮤니케이션즈는 지난해 11월 자사의 SNS 서비스인 싸이월드를 풀브라우징 버전으로 선보인 바 있으며, 올해에는 동영상, 선물가게, 뮤직 서비스를 추가하여, 고객들이 유선 싸이월드의 거의 모든 기능을 휴대폰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여기에 지난달 29일에는 모바일웹2.0포럼이 단말기 사양에 상관없이 유선 웹사이트를 휴대폰으로 구연하는 ‘모바일OK 시범사업 시연’을 성공리 마무리함으로써 올해 풀브라우징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은 더 커지고 있다.

풀브라우징 활성화에 대한 노력이 이통사를 넘어 포털사업자를 비롯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은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휴대폰 시장의 최대 화두는 스마트폰으로 이와 함께 풀브라우징에 대한 관심이 증폭될 것이라며 서비스 업체들의 이에 대한 서비스 출시가 많아질수록 이용자들의 사용욕구도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자신문인터넷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