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오바마 정부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초고속통신망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보다 넓은 지역에 보다 빠른 ‘정보 고속도로’를 건설해 미국민 모두가 정보화 혜택을 누리도록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구상이 벽에 부딪힐 지 모른다. 바로 통신망이 있어도 쓰지 않는 이용자 문제다.
미국 비영리단체인 퓨인터넷앤드아메리칸라이프프로젝트(이하 PIALP)가 성인 40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미국 성인 4명 중 1명(25%)이 인터넷을 쓰지 않고 있다. 이들은 가정 내 초고속인터넷은 물론이고 전화 모뎀도 없는 층이다.
그런데 이들 중 절반 정도가 인터넷을 필요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인터넷을 쓰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 중 33%는 온라인에 접속할 필요나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고 했다. 또 응답자 중 7%는 인터넷 접속을 시간 낭비로 여겼고 바빠서 인터넷을 보지 않는다는 의견도 7%였다.
인터넷에 접속할 방법이 없어서 쓰지 못한다는 의견은 13%에 불과했는데, 이는 적지 않은 미국민들이 통신망 부재 때문에 인터넷을 쓰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에 흥미를 못 느끼고 시간 부족 등에 근본 원인이 있다는 걸 뜻한다.
PIALP 측은 “비인터넷 인구의 대부분은 노년층과 소득이 적은 사회적 약자들”이라며 “전 국민의 정보화를 위해서는 초고속통신망을 구축하는 문제뿐 아니라 이들에게 그 필요성과 당위성을 설명하고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들을 함께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