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KTF가 물리적·화학적 통합을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오는 5월로 예정된 통합KT 출범과 동시에 합병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는 등 조기에 안정화를 실현하겠다는 포석이다.
하지만 KT와 KTF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합병 인가 심사를 앞두고 있는 만큼 통합 작업의 속도 조절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KT와 KTF는 지난 달 합병 효과 조기 극대화를 목표로 KT와 KTF간 중복 기능 및 시스템을 통·폐합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준비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운용 효율성 제고를 기치로 한 마스터플랜에 의거, KT와 KTF는 내부에 이어 유통망 등 외부 통합을 완료하는 등 단계별로 통합을 완료할 계획이다.
업무 및 인력 통합과 관련, KT 주요 부서에 KTF 인력이 파견되는 등 조직 통합 작업이 본격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재무 부서는 합병 이후 가동할 회계운영시스템 구축에 들어갔고, 사업부서의 경우에 결합상품 등 ‘통합KT’가 내놓을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KT와 KTF는 전산 시스템 통합도 추진 중이다. 전산 시스템 통합과 관련, KT는 지난 99년 KTF 이동통신 재판매 이후 독자적으로 운용했던 과금시스템을 우선적으로 통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KT와 KTF는 독자적으로 운용해 온 민원 관리 시스템과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DB), 요금 수납 및 청구 시스템에 대한 통합 작업도 추진하고 있다.
KT와 KTF는 내부적으로 통합이 이뤄지더라도 안정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일정 기간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KT와 KTF는 내부 통합에 이어 유통망 등 외부 통합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KT와 KTF는 지난 해 말 유통망 통합을 발표하고 기존 267개 KT플라자를 56개로 단계적으로 개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해 5월부터 KT-KTF 유통망 공동 활용을 시작한 이후 쇼 매장에서 이동통신 상품 뿐만 아니라 유선상품과의 결합상품 업무도 처리하고 있다.
KT 고위 관계자는 “KTF와의 통합 작업은 마스터플랜에 기초, 차질없이 진행할 것”이라면서도 “ 방통위의 최종적인 합병 인가를 예단할 수 없는 만큼 적절하게 속도를 조절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