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방송 디지털전환을 국산장비 활용의 계기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방송장비업계 요구·건의사항

 오는 2013년으로 예정된 방송의 디지털전환 시 국산 방송장비가 더 많은 분야에서 도입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높다.

 16일 방송업계에 따르면 정보기술(IT) 강국으로 꼽히는 우리나라지만 방송장비 국산화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중국만 해도 자국 장비 도입률이 60%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방송 플랫폼이 다양하고 콘텐츠 분야에서도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유독 방송장비에서만은 제자리를 잡아가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방송의 디지털전환에 필요한 설비투자 재원만 최소 10조원에 달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국산화가 가능한 분야부터 국내 장비를 적극 활용, 방송산업 전반의 균형발전을 유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국산장비 우대 지원 필요=정부는 방송사들의 디지털전환 설비투자를 돕기 위해 외국산 방송장비에 대한 관세를 50% 감면해 주는 정책을 펴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역차별 요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산장비 업체가 존재하고 국내 기술력이 갖춰진 품목에 대해서는 오히려 관세를 철저히 매기는 것이 장비 국산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장비업계가 현재 관세감면 축소나 철폐를 요구하는 품목은 비디오 모니터, 업 컨버터, 멀티뷰어, 스트림 다중화기, 비디오 키어, 엠펙분석기 등으로 알려졌다.

 국고로 지원되는 방송사업에서는 국산장비 도입을 일정부분 의무화하는 방안도 건의되고 있다. 사업자인 방송사들이 장비 선택권을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정부의 금전적 지원을 받는 설비투자라면 국산장비 활용을 적극 유도해 국내 업체의 기술개발 욕구를 자극해야 한다는 것이다.

 ◇방통위와 지경부의 협력 필수=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는 최근 국내 방송장비 활용방안을 함께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방통위가 방송정책 전반을 조율하지만 현재 법 상에서는 지경부가 방송장비 진흥기관으로 돼 있다. 따라서 두 부처간의 긴밀한 협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방송장비업계 한 관계자는 “방송의 디지털전환 전체 밑그림을 그리면서 국산 방송장비의 진흥방안도 함께 모색했으면 한다”며 “방송사의 재허가 심사 등에 국산장비 활용도를 반영하는 등 보다 구체적 정부 조치가 늘어났으면 한다”고 밝혔다.

 통신업계에서 서비스사업자와 장비업체가 함께 기술을 개발하고 장비 구매를 어느 정도 보전하는 등의 협업이 보편화 돼있다. 이 같은 모델을 방송업계에 도입해 방송서비스와 장비업계 상생협력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공통 기술개발·규격 통일부터=방송기술산업협회에 따르면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방송장비에 대한 규정이나 항목 구분이 명확하게 정리되지 못했다. 기관마다 방송장비에 대한 규정이 다르니 정확한 통계도 없다. 지상파만 해도 KBS·MBC·SBS 등의 장비 요구 규격이 다 다른 실정이다.

 이한범 협회 사무총장은 “방송장비에 대한 정확한 정리부터 이뤄져야 우리나라가 우선 국산화해야 할 분야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방송사들이 공통의 기술기준·규격을 제시하면서 국산 장비업체들에 제품을 개발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업계에서는 통신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같은 방송기술전문센터의 필요성도 제기하고 있다. 공영방송인 KBS기술연구소를 국가 방송기술전문연구센터로 확대하거나 별도의 국가 연구개발 조직을 신설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