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열린 제3차 녹생성장위원회에서는 녹색성장의 핵심 요소인 그린IT국가 전략과 녹색기술을 활용한 저탄소 실천전략이 나왔다. IT강국을 넘어 글로벌 그린IT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밑그림이자 실행계획을 담았다. 사실 작년 여름 이명박 대통령이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을 선포한 이후 지식경제부와 행정안전부·방송통신위원회·교육과학기술부 등 IT 관련 각 부처에서 앞다퉈 그린 IT와 관련 계획을 발표했지만 시너지 창출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나왔다.
녹색위가 이번에 마련한 그린IT 국가전략은 부처별로 산재한 관련 계획을 관계부처와 공동 작업으로 융합해 중장기 방향을 제시하고 그린IT 제품·서비스의 생산·활용·기반구축 등 전 주기를 연계한 전략이라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IT 유관부처를 비롯한 국토해양부·노동부·환경부·소방방재청·산림청 등 15개 부처청에 이른다. 정부는 이를 통해 IT 부문을 녹색화하고 그린IT 자체를 신성장동력화하는 한편, IT를 융합해 우리 경제·사회를 스마트 그린화하고 기후변화 대응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목적이다.
본격적인 게임은 지금부터다. 미국·일본·덴마크 등 IT 산업 강국들도 그린IT·제품 개발에 집중 투자하는 등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작년에 그린IT 개발에만 30억엔을 투자한 데 이어 올해에도 집중지원하고 있으며, 톱러너 프로그램으로 자국 그린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미국만 해도 IBM 같은 기업들이 나서 그린IT 제품·서비스 개발에 매년 1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할 정도다. 유럽연합(EU)은 에너지효율설계(EuP) 등으로 환경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부처에서 쏟아낸 그린IT 관련 정책을 그린IT 국가전략이라는 하나의 그릇에 어렵사리 모아놓은만큼 정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