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참한 실업난의 상징이던 ‘88만원 세대’가 그마저 실직 상태에 이르게 됐다. 같은 일을 하면서도 정규 직원 급여의 60%밖에 받지 못한 억울한 비정규직의 ‘연한’이 끝났기 때문이다. 부의 재분배를 외치며 ‘후생경제’를 강조하던 전 정권도, 서민을 위한 정치를 한다는 현 정권의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억울한 처지에 놓인 부류가 비정규직이다.
지금의 경제상황이라면 앞으로 대량해고 사태는 불가피하다. 실업에 골머리를 앓는 정치권으로선 빠른 해답을 내놓지 않으면 사회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짙다. 특히 노동의 유연성 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감안할 때 경영자나 노동자 모두 감당하기에 너무나 무거운 짐일 수밖에 없다.
아마추어적인 정치의 결과라고 욕한다 한들, 그때의 입법자들은 이미 힘떨어진 범부에 불과하다. 다같이 잘살자고 정책을 내놓는 것도, 서로를 비교하지 않으면서 사이좋게 지내는 것도 일단 배부르고 등 따뜻해야 가능한 일이다. IT 업계에도 적지 않은 비정규직이 있다. 수년간 노하우를 쌓고 핵심 인재로 활약하지만 회사 형편이 어려우면 그들 역시 길거리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 경제적으로도 엄청난 손실과 낭비를 부르는 상황이다.
이제 해답을 업계에서 찾아야 한다. 문제의 발단을 만들어놓고 정치적으로 답을 찾으려는 부류에게 생계의 중요성을 다시 알리는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 산업의 긴박함을 인지하도록 끊임없이 지적해줘야 한다. 탁상공론식 해법만을 내세우는 정치권은 결국 근원적인 치료보다 임시적인 응급조치에 급급할 것이고, 또다시 문제가 불거질 것이다. 포퓰리즘에 치우쳐 앞뒤 가리지 않은 그들을 힐난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다. 먼저 업계가 나서 불안한 그들을 감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