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청소년 생활 개선, 규제보다 `캠페인`

[현장에서] 청소년 생활 개선, 규제보다 `캠페인`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2008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공표했다. 지난해 불어닥친 경제위기로 방송업계가 전반적으로 침체된 모습이 여실히 드러났다. 특히 유료방송시장에 전문방송콘텐츠를 공급하는 채널사용사업자(PP)들은 어려움 속에서도 방송프로그램 제작과 수급비용에만 7000억여원을 투자하며 고군분투했지만 광고수익 성장정체라는 초라한 성적만 남겼다.

 올해 들어서도 PP업계에 희망의 메시지는 전달되지 않았다. 연초부터 방송광고시장은 더욱 얼어붙었고 지난해보다 더 힘들다는 광고영업 담당자의 푸념만 늘었다. 게다가 최근 보건복지가족부가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를 위해 고열량, 저영양 식품의 TV광고를 규제하는 법안을 예고하고 나섰다.

 법안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현재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방송사업자가 가혹한 타격을 입을까 우려된다. PP사업자는 광고규제보다는 다른 방식의 효과적인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단순히 법률을 통한 정보차단보다 방송매체 등 언론을 통해 실질적인 식생활 개선운동을 추진한다면 PP업계도 이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도 관련 사업자들과 의견을 더 나누면서 법안개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었지만 이번 입법예고는 아쉽게도 관련 사업자들의 의견과 대안은 전혀 반영되지 않은 모양이다.

 인터넷 보급률이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의 어린이·청소년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유해물을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의 PC 이용을 규제하고 인터넷접속을 규제하려는 노력보다는 악영향에 대해 현실감 있는 교육과 매체의 건전한 이용을 유도하는 캠페인을 지속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청소년을 보호하는 방안으로 보인다.

 어느 편의점이나 슈퍼마켓에 가도 형형색색 고열량 식품이 진열돼 있어 어린이의 손이 분주히 오간다. 판매금지 식품이 아니라면 TV광고를 금지한다 하더라도 이들의 손길을 차단하거나 절제시킬 방법이 없다.

 무리한 광고규제보다는 어린이가 많이 시청하고 이용하는 케이블 채널이나 포털사이트와 협력해 캠페인을 먼저 실시하는 것은 어떨까.

류승환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PP지원팀장 shyoo@kct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