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과금 기준을 기존 10초에서 1초 단위로 개선하고 SKT와 KT가 지난 2000년 이후 처음으로 각각 가입비를 27%, 20% 내리는 것을 골자로 하는 파격적인 이동통신 요금 인하를 결정함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의 매출 감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SKT는 이번 요금인하 조치로 연간 최대 1조700억원의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KT는 이동통신 외에 유선통신을 포함, 최소 약 1조2000억원에서 최대 약 1조5000억원에 이르는 매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LGT는 SKT와 KT의 10분의 1 수준인 1700억원의 매출 감소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동통신 시장이 이미 정체 단계에 돌입한 가운데 추가적인 매출 감소로 인해 이동통신 사업자의 차세대 투자 여력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이처럼 매출 감소가 불가피함에 따라 SKT와 KT, LGT의 단말 보조금 여력 또한 상당 부분 축소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하지만 이동통신 경쟁 속성을 감안할 때 매출 감소가 단말 보조금 축소로 당장 이어질지 장담할 수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특히 이번에 발표된 요금인하 방안은 과거 3사가 비슷한 수준에서, 비슷한 규모로 단행한 요금인하와 달리 3사 간 차이가 확연한만큼 이동통신 이용자의 적잖은 이동도 예상돼,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입자 유치 및 유지를 위한 단말 보조금 경쟁이 재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매출 감소와 관련, 이동통신 사업자 진영은 역대 최대 규모로, 가장 많은 방법이 동원된 이동통신 요금인하로 인한 이동통신 수요 촉진 가능성에 주목하는 한편 기대감을 표시하는 것으로 위안을 삼고 있다.
SKT와 KT 등 이동통신 사업자는 장기가입자에 대한 요금인하와 무선데이터 요금인하가 이동통신 소비자의 이용량(시간·데이터)을 늘리는 데 일조하면 요금인하로 인한 매출 감소를 일정 부분 상쇄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 같은 상쇄 효과가 구체화되는 데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란 점에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투자 위축도 우려된다.
한편 해마다 반복되는 이동통신 요금인하 주장에 이동통신 사업자가 사실상 종지부를 찍기 위해 파격적인 요금인하를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사회단체가 적절성에 이견을 제기하는 등 이동통신 요금인하 논란은 여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이동통신사업자는 물론이고 학계조차 이동통신 요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가 하면 아예 규제기관과 사업자, 소비자가 모두 참여해 이동통신 요금을 상시적으로 논의하는 ‘사회적 기구’ 등을 제도화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