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한 번쯤 음식점마다 다른 삼겹살 1인분의 양은 어느 게 맞는 것일지 궁금증을 가져봤을 것이다. 단말기마다 상이한 문자입력 방식 때문에 자판을 익히느라 번거로움도 겪었을 것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소매를 걷어붙였다고 한다. 이른바 국민생활과 밀접한 표준화 과제 50개를 발굴해 2012년까지 단계적으로 개선하는 ‘1250 친서민 생활표준화 계획’을 추진한다.
지난 1960년대 산업육성을 목표로 산업과 기술 중심의 표준화를 제정한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일반 서민생활에 초점을 맞춰 표준화를 추진하기는 처음이다. 눈에 띄는 대목은 고령자 및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점이다. 교통카드 전국 호환이나 엘리베이터 버튼 위치 통일, 병원 간 환자 진료정보 공유를 위한 의무기록 데이터베이스 표준화가 대표적 사례다.
이 외에도 생활에 필수기기가 돼 버린 IT기기의 표준화도 꼭 필요한 일이다. 회사별·모델별로 달랐던 휴대폰 문자입력 방식이나 배터리 규격, 가전제품의 리모컨도 표준화로 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녹색성장 기조에 부응해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기반 전기요금 체계, 서비스용 로봇 성능 기준도 하나로 통일돼 서민 생활이 편리해질 전망이다.
올해 들어 이명박 대통령은 친서민 중도실용 노선을 정책 기조로 추진한다. 치솟는 아파트 가격 상승이나 눈덩이로 불어난 사교육비로 고통받는 서민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상황에서 나온 방향 전환이다.
서민을 위한 정책은 거창해서는 안 된다. 사소한 것 같지만 작은 불편부터 개선해 나가는 것이 훨씬 피부에 와 닿는다. 서민을 보듬지 않는 정부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기술표준원이 마련한 생활표준화 계획이 실효를 거둬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