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녹색금융의 미래

[현장에서] 녹색금융의 미래

 “녹색금융이란 무엇인가? 과연 실체가 있는가”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지구온난화 관련 탄소배출량을 제한하고 초과량에 비용을 지급하게 하는 시장메커니즘은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기업과 공생관계에 있는 금융기관도 리스크를 예측하고 준비해야 한다.

 최근 정부는 그간 민관합동으로 준비해왔던 17개 신성장 동력의 세부계획을 발표했다. 그중 녹색금융이 이색적이다. 녹색금융은 신성장 녹색산업을 금융지원하는 기능과 저탄소화 금융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는 기능으로 구분된다. 녹색산업 금융지원은 성장 초기단계인 이 분야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투자를 촉진하는 방안이다. 금융 분야의 지원과 협력이 선행돼야 한다.

 2009년 2월부터 시행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은 녹색성장과 관련된 새로운 파생금융상품이 대거 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배출권 거래시장(탄소시장)을 개설해 새로운 금융시장의 등장 및 금융산업 발전의 계기를 만들 수 있다. 금융기관은 친환경 경영 및 사회책임투자 차원에서 녹색금융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녹색 신용을 감안해 금융을 차별화하고 녹색성장펀드, 탄소펀드의 설립도 가능하다. 녹색기업 인증제 도입도 추진할 수 있다.

 저탄소화 금융 인프라는 그린IT 기반에 다양한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기반 조건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인프라는 장기적인 녹색금융정책 외에 실제 현장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인프라로는 금융망과 기업의 ERP를 직접 연결한 기업용 자금관리시스템, 금융망과 지방자치단체의 내부 시스템을 연결한 전자세출시스템, 전자증빙과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R&D지원시스템 등이 있다.

 녹색금융시장은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하다. 금융권의 관심과 참여도 미흡한 수준이다. 그러나 녹색성장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정책적 뒷받침으로 잠재력은 매우 높다. 선진 금융계와의 발전 편차가 크지 않고, 선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 전략적 산업분야로도 육성할 수 있다.

 황선원 농협 e-비즈니스부장, maljjang55@dreamw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