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채널 자리 잡으려면 콘텐츠 중심 정책 필요”

종합편성채널이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콘텐츠 중심의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아울러 방송콘텐츠 제작 및 유통의 지속 성장 가능한 생태계 조성도 시급한 과제로 대두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16일 오후 2시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미디어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콘텐츠산업 활성화 방안’ 세미나를 열고 방송콘텐츠 산업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세미나는 하나의 콘텐츠가 다양한 미디어로 동시에 송출되는 ‘원소스 멀티유즈’가 세계적 흐름으로 자리매김하며 각국이 콘텐츠 산업육성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한국 방송콘텐츠 산업의 활로를 고민하는 기회로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학계 인사들은 종편 채널 도입의 취지는 공감하지만 신중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용준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종편채널 도입은 지상파 종속구조에서 탈피해 방송콘텐츠산업 육성할 기회”라고 전제하며 “다만 콘텐츠정책이 부실하면 신규 사업자도 지상파 콘텐츠의 재유통창구로 전락할 우려거가 있기 때문에 콘텐츠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윤경 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협소한 내수시장에 기반한 하청형 제작체계로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 하기 어렵다”며 “지상파방송의 독과점적 지위가 다매체시대에도 대물림돼 방송콘텐츠 제작 유통 측면에서 심각한 불균형 현상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문화부 측은 “내년 도입될 종편 채널이 급변하는 국내외 시장환경의 핵심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국내 대규모 자본유입과 사업자간 결합이 예상되는 만큼 한국도 글로벌 미디어 그룹이 출현할 수 있는 토대 마련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