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 IT정책, 이제 업계가 화답할 때

 정부가 정보기술(IT) 산업을 다시 보고 있다. 지난 16일 열린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정운찬 국무총리는 정통부 폐지에 대한 IT 산업계의 섭섭함을 직접 거론했다. IT가 당장 정부 현안으로 떠오른 일자리 창출과 신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소신도 밝혔다. 정 총리가 직접 IT 산업 위상을 강조한 데는 이명박 대통령을 포함한 주요 정부 부처의 충분한 공감대가 있었음을 뜻한다. 정말 반가운 소식이다.

 실제 정부의 ‘친IT 기류’는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는 2013년까지 총 190조원에 이르는 예산을 골자로 한 ‘IT코리아 5대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계 건의를 받아들여 IT특보를 신설하고 오해석 교수를 임명했다. 2010년 정보화 예산은 현 정부 들어 처음으로 늘었다. 급기야 이명박 대통령은 최근 열린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위촉식에서 민간위원에게 일일이 임명장을 수여한 후 위원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위원회 활동에 우리나라의 미래가 달려 있다는 속내도 드러냈다.

 확실히 집권 초기와 달리 IT를 기반으로 새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이제 산업계도 화답해야 한다. 일각에서 제기한 ‘IT 홀대론’이 단순한 IT업계 이익을 위한 투정이 아니었음을 확인시켜야 한다.

 정책 의지와 상관없이 IT 컨버전스가 세계적인 추세임을 산업 현장 곳곳에서 보여 줘야 한다. IT 활성화는 결코 정부 혼자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바뀐 정부 분위기에 산업계가 적극적으로 힘을 보탰을 때, IT가 국가 어젠다로 위상이 높아질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