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u시티가 성공하려면

[현장에서] u시티가 성공하려면

최근 지자체별 u시티, u타운이 하나의 트렌드가 돼간다. 이에 따라 지자체를 중심으로 u도시 건설을 위한 계획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나 아직까지 계획에서 구축, 운영까지 완전한 참조 모델이 존재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현재 추진 중인 u시티 건설사업도 삐걱거리고 있다. 경기도만 하더라도 수원, 고양, 남양주, 시흥, 양주 등 주요 u시티 건설사업에서 서비스가 확정되지 않거나 용역업체가 선정되지 않는 등 사업지연 소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추가예산 소요, 서비스 부실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 발생의 주요인으로 △광범위한 u시티 특성상 막대한 구축 비용과 유지보수 부담 △u시티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 조율의 어려움 △상호 운영성 확보를 위한 표준서비스 모델 및 관련 핵심기술에 대한 충분한 검토 미흡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u시티 설계 초기단계부터 수익성 기반의 상용서비스 적용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u시티 사업은 대부분 행정, 환경, 방범 등과 같은 공공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상용서비스를 적용해 실효성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용서비스 수익의 일부를 공공서비스 운영으로 돌리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민관협력 사업모델을 적용하거나 민간 사업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세금감면, 규제완화, 표준화 지원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마침 정부가 u시티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범부처 차원의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체감형 서비스의 중요성과 실수요 기반 u시티 서비스 확대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 핵심기술 표준 정립 및 각종 지침을 완비한 종합적인 지원책을 마련한다고 하니 u시티를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및 관계자들이 주의깊게 살펴봐야 할 것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세계적인 u시티 표준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계획 수립에서 부터 구축, 운영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를 고려한 실효성 높은 u시티사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정륜 인천정보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wffma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