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3D TV 각축장 된 `CES 2010`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0’이 나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10일(현지시각) 폐막했다. 이번 ‘CES2010’은 3D전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각사는 3D TV를 대거 선보였다.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LG 전자, 소니, 도시바, 샤프 등 주요 디스플레이 업체는 저마다 자사의 3D TV를 전시하고 바람몰이에 나섰다.

최근 몇년간 CES가 슬림화와 복합화 등 기능성에 초점에 맞춰졌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3D TV와 같은 신기술이 올해 CES의 핵심이 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내 업체들도 응용기술 및 제품개발 못지않게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미다.

아이폰 열풍에서 보듯이 혁신적인 제품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아이폰은 이동통신 환경을 뿌리째 흔들었고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모바일인터넷 활성화에 기폭제가 되고 있다. 많은 벤처업체들이 대박을 노리고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뛰어드는 등 모바일 비즈니스 환경도 바꿨다. 이처럼 아이폰은 혁신제품과 서비스 개발에 소홀했던 국내 휴대폰 제조 및 이동통신서비스엡체에 경종을 울렸다.

과거 한국에 크게 뒤졌던 중국업체들도 새로운 기술 및 제품 개발에서 한국에 뒤지지 않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아직 일본이나 한국 제품에 비해 뒤지지만 단순한 제품개발과 생산에 있어서는 몇년내 따라잡을 기세다. 이번 CES에서 하이얼, TCL, 하이센스 등 중국업체도 3D TV를 대거 출품해 이같은 예측이 허언이 아님을 증명했다. 중국의 추격은 앞으로 거세질 것이다. 국내 업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은 자명하다. 원가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높여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런

 방식으로는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는 샌드위치 신세를 면할 수 없다.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혁신 제품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