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개월간 정치권의 뜨거운 공방은 물론 전 국민의 큰 관심을 받아왔던 세종시 수정안이 11일 나온다. 이미 윤곽은 드러났다. 행정부처 이전을 백지화했다. 기업과 대학 유치를 위해 대기업에게 원형지 형태로 3.3㎡(1평)당 36만∼40만원에 공급키로 했다. 중소기업과 연구소에는 조성용지 형태로 3.3㎡당 각각 50만∼100만원과 100만∼230만원으로 토지를 공급한다. 소득세와 법인세는 3년간 100%, 이후 2년간 50% 감면하고 취득세와 등록세, 재산세는 15년간 감면된다. 세종시에 입주의사를 밝힌 기업들의 면모도 밝혀졌다. 삼성전자와 삼성SDI, 삼성LED 등은 ‘발전용 연료전지’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LED사업’ 등 차세대 사업 생산라인을 이곳에 구축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그룹·웅진그룹 등도 입주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과학비즈니스벨트도 세종시에 입주한다.
세종시 수정안 작업을 주도해온 총리실과 이를 지원해온 청와대는 이제 본격적으로 국민 설득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무엇보다 진정성을 갖고 설득해야 한다. 그러나 무한정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된다. 일정 기간을 정해 최대한 설득하되 국민과 정치권이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적했듯이 지난해 우리나라가 경제위기에서 가장 빨리 탈출한 요인 중의 하나는 과감하면서도 발빠른 재정 지출이었다. 우리 기업들도 경제 위기에 빠른 의사 결정으로 경쟁력을 배가했다.
세종시는 정치적인 이슈뿐만 아니라 산업, 과학과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 세종시가 표류하면 기업의 신사업도 적기 투자가 어렵게 된다. 1년 가까이 미뤄진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아예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산업과 과학은 ‘타이밍의 예술’이다. 세종시 수정안 논의를 국가 경쟁력 관점에서 시작했듯이 끝도 마찬가지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