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SK텔레콤, 삼성전자, KBS 등 국내 대표기업들이 협력, 해외 방송통신 시장 개척에 나선다.
정부도 방송통신 산업의 해외진출 전략을 만들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13일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는 KT 등 19개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2010년 제1차 방송통신해외진출지원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지원협의회는 그 동안의 업계 의견수렴 결과들을 토대로 마련된 ‘2010년도 방송통신 해외진출 지원전략(안)’을 위원회에 보고, 확정하기 전에 최종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 개최됐다.
특히 이날 각 기관별로 발표한 올해 사업계획을 통해 19개 기업은 공동 진출에 대한 시너지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아프리카 르완다 국가 기간망 및 와이브로망 구축 사업(총 577억원) 등을 구축하고 있는 KT는 올해부터 아시아, 중동 및 북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의 와이맥스사업 등을 위한 국내 협력사와의 동반진출을 확대하기로 했다.
중국을 제2의 내수시장으로 정의해 관련 조직을 중국으로 이동한 SK텔레콤도 전자상거래,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 컨버전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관련 사업 분야에 대한 협력을 넓혀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도 지난해 와이브로가 아르헨티나와 이란에 진출한 데 이어, 올해는 일본, 미국, 러시아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 한편, 인도 등 동·서남아 지역과 중남미 시장 개척에 주력할 계획이다. KBS, MBC 등 방송사들도 미국, 서유럽, 동유럽, 중동 등 비아시아권 수출을 늘려가는 한편 통신서비스와 콘텐츠가 결합된 새로운 사업모델 등도 발굴, 시장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원협의회에 참석한 업체들은 진출 대상 국가와의 정부간 협력을 통한 통신규제 개선 지원, 공적개발원조(ODA) 자금의 통신비중 확대 , 업체간 사업 연계지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동반 진출 시스템 구축 등의 정부에 건의했다.
지원협의회 의장인 방통위 백기훈 국제협력관은 “각 기관에서 발표한 해외진출 계획을 ‘10년도 방송통신 해외진출 지원전략(안)’에 수용, 해외 로드쇼 및 쇼케이스 개최 등에 적극 반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