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가상화 방식 공공기관 망분리 허용

 공공기관 해킹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추진 중인 인터넷망과 업무망 분리(망분리) 사업에 올해부터 가상화 기술이 허용된다.

 국가정보원은 지난해까지 망분리 사업에 보안문제가 검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가상화 기술은 배제하고 PC 2대를 설치해 인터넷과 업무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방식을 고수해왔다. 가상화 기술이 허용되면서 올해 260억여원을 시작으로 향후 3000억원대로 예상되는 망분리 시장에 가상화 솔루션업체들의 진출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18일 정부 및 공공기관 등에 따르면 국정원은 올해부터 공공기관의 망분리 사업에 기존 물리적 방식과 함께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이른바 ‘논리적 망분리’ 방식도 허용키로 하고, 내달 중 관련 기술지침과 도입 가이드라인을 발표키로 했다.

 가상화 기술은 1대의 PC속에 가상의 PC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으로 기존 ‘1인 2PC’ 방식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PC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와 각종 화학물을 줄여 친환경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정부 한 관계자는 “지난해 기존 물리적 방식이 국회 등에서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논리적 방식도 허용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며 “국정원 지침이 나오면 공공기관장이 2가지 방식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추진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올해 공공기관 망분리 사업은 총 268억원 규모로 법제처·기상청 등 중앙부처 13개 기관을 포함해 산하기관·위원회 등 48개 기관이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향후 230여개 시·군·구와 산하기관·소속기관 등으로 망분리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이를 합치면 시장규모가 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가상화 기술 허용으로 마하넷·에프네트·테크모아·마크온·비즈온·에프네트 등 그동안 물리적 망분리 솔루션업체들이 주도해온 시장에 가상화 솔루션 업체들이 잇따라 출사표를 던질 전망이다. 가상화 기술업체로는 다우기술·틸론·시트릭스 등이 있다.

 가상화 기술업체 한 관계자는 “지자체와 산하기관의 경우 예산문제로 비용이 싼 가상화 방식을 고려해왔으나 국정원이 허용하지 않아 사업 자체를 시작하지 못한 경우도 허다하다”며 “초반에 구축사례를 확보하면 단점으로 꼽혀온 보안문제에 대한 불안감도 충분히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전자정부지원사업으로 진행되는 올해 망분리 사업도 주요 조기발주 프로젝트에 포함해 이르면 2월부터 발주에 나서는 등 사업 일정을 2∼3개월 앞당길 방침이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