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콘텐츠’와 ‘정보’라는 단어를 물어보고 무엇을 연상하는 지를 물어보면 어떤 대답을 할까? 많은 사람이 인터넷이라고 답하지 않을까? 지금과 같은 정보사회를 이룩하는 데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은 인터넷이다. 질적인 면에서는 불법복제, 정보의 신뢰성 등의 논란거리가 있겠지만 적어도 양적인 측면에서는 이 명제를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팀 버너스 리가 월드와이드웹(www)을 제안하고 정보를 쉽게 찾도록 도와주는 브라우저 ‘모자이크(Mosaic)’을 개발했을 당시에는 지금과 같이 정보의 양적 폭주를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후, 컴퓨터 CPU의 처리속도와 메모리 집적용량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가격은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그 뿐만 아니라 웹2.0의 개념과 이를 뒷받침할 기술이 개발되면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정보의 생산자로 참여할 수 있게 되고 그야말로 콘텐츠의 빅뱅으로 이어졌다.
방대해진 콘텐츠와 정보는 인터넷의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단순한 키워드로 검색을 할 경우, 복제로 인하여 중복된 정보, 조각난 정보 그리고 불필요한 정보가 와르르 쏟아진다. 인터넷 이용자는 어느 것이 필요한 것이고 어느 것이 진짜인지를 자신의 경험과 지적능력에 의지해서 망망대해를 표류할 수밖에 없다.
이는 인터넷의 근본적인 체계문제로 볼 수 있다. 인터넷은 기본적으로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즉 제공하는 위치로 콘텐츠를 구분한다. 복제가 쉬운 인터넷 환경에서는 정보의 중복과 변형을 피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인터넷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이 나오고 있다. 키워드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멘틱 웹 그리고 웹3.0 등이 거론되고 진행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국가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확산보급을 위한 지원, 컨퍼런스 개최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가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UCI, Universal Content Identifier)는 인터넷상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일종의 바코드 같은 것이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위치가 아니라, 콘텐츠 그 자체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방식이다. 체계적으로는 콘텐츠의 무분별한 중복을 막을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콘텐츠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URL이 가지지 못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UCI는 디지털콘텐츠의 국가식별체계라는 점도 비즈니스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기업체가 이를 콘텐츠 관리체계에 적용할 경우, 자사가 보유한 콘텐츠를 자사 사이트에 한정하여 제공하거나 판매할 수밖에 없었지만, UCI를 도입하게 되면 UCI를 적용한 모든 기업체의 사이트에서 홍보할 수 있는 기반을 얻게 되고, 타 기관에서 제공한 다양한 콘텐츠와의 연계를 통해 고품질의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작권자 권익보호와 유통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등 공정거래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한번의 검색어 입력만으로 필요로 하는 관련 정보를 접속한 사이트외에도 UCI 번호로 연결된 사이트에서 원문까지 한번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이용자의 수고도 크게 덜 수 있다. 지금부터 인터넷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을 진행할 때다.
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NTIS사업단장 jaesoo@kis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