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모바일브로드밴드’ 전략 내놨다

KT가 무선인터넷 서비스 확대를 위한 ‘모바일브로드밴드’ 전략을 내놨다.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무선모델·e북 등 데이터 중심의 모바일기기에서도 유선과 같이 초고속인터넷을 싸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이석채 KT 회장은 10일(현지시각)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미디어 서밋’ 행사에서 국내 무선인터넷 시장 확대를 위해 스마트폰 외의 모든 데이터 단말에서도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브로드밴드(MBB:Mobile Broadband) 전략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MBB 전략의 일환으로 △테더링(Tethering) 허용 △OPMD(One Person Multi Device) 서비스 도입 △와이브로 네트워크 활용 극대화 등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테더링은 와이파이 무선인터넷에 연결된 스마트폰이 무선모뎀이 돼 이를 통해 주변의 전자책, 태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단말기에 접속해주는 기술이다. 쇼옴니아와 아이폰에서 지원하는 ‘인터넷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시켜 데이터 단말기에 연결하면 스마트폰을 무선모뎀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

그동안 일부 이용자들은 이 기능을 활용해왔으나 메가바이트(MB)당 2600원의 비싼 요금제로 저변이 확대되지 못했다. 이를 위해 KT는 스마트폰에만 적용되던 데이터요금제를 다양한 단말기에서도 한 개의 데이터요금제로 이용하는 ‘OPMD(스마트쉐어링·One Person Multi Device)’ 요금제를 이달 중에 출시할 계획이다. 특히, 일반 피처폰에서도 데이터 요금제를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이 회장은 이날 발표에서 MBB 전략의 일환으로 와이브로 네트워크 확대와 최적화 계획도 밝혔다. 오는 10월까지 5대 광역시 와이브로 커버리지를 구축하고 내년 3월까지 전국 모든 시단위 지역으로 확대키로 했다. 또, 현재 8.75㎒인 대역폭을 글로벌 표준인10㎒로 상향 조정해 해외에서 구매한 와이맥스 제품도 국내에서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할 방침이다. 이용자 확대로 발생하는 과다 트래픽은 무선랜(와이파이)·WCDMA·와이브로 등 3W 확대로 분산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