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구글 `中본토 철수` 맹비난

미국 인터넷 검색엔진업체 구글이 22일 검색 서비스를 중국에서 철수하고 이를 홍콩에서 우회적으로 계속한다는 방침을 밝히자 중국 정부와 언론, 누리꾼들의 비난이 잇따랐다.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23일 성명을 내고 “구글이 중국 내 검색서비스를 중단하고 해킹 피해 책임을 중국에 돌린 행위는 중국 정부와 명문화한 약속을 깨는 일이자 완전히 잘못된 일”이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신문판공실 인터넷국의 책임자는 성명에서 “우리는 상업적인 문제를 정치화하는 것에 결연히 반대한다”면서 “구글의 근거 없는 중국에 대한 비난에 대해 불만과 함께 분개의 뜻을 표명한다”고 강조했다.

이 책임자는 “구글이 중국어 검색서비스를 중국 본토에서 퇴출시킨 것은 구글 자체의 문제”라고 일축하고 “이후에도 중국의 법률과 국제적인 관례를 준수해 사후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이날 논평을 통해 구글이 중국 시장에 들어올 때 법에 따라 ’유해 콘텐츠’를 검열하기로 약속하고는 갑자기 약속을 깨려 한다면서 “이는 완전히 부당한 행위로, 변한 것은 중국의 투자환경이 아니라 구글 자신”이라고 지적했다.

통신은 “중국 역시 인터넷 해킹의 최대 피해자 중 하나”라면서 “중국 정부가 해킹을 용인했다는 주장은 그 의도가 어디에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신화통신은 이어 “2009년 현재 중국에는 외국 기업 66만개가 활동하고 있고 전 세계 500대 기업 중 480개가 진출해 중국의 법률을 지키며 영업하고 있다”면서 “구글을 외자기업의 대표이자 전형으로 판단하는 것은 부당하다”고도 했다.

통신은 일각에서 제기된 투자환경 악화 가능성에 대해 “개혁개방의 길을 추구하는 중국은 앞으로도 외자기업에 대해 문호를 개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의 영문판인 글로벌 타임스 홈페이지에는 구글의 검색서비스 철수 소식을 들은 누리꾼들이 “꺼져라” “하하, 폭죽 터뜨려서 경축할 일이로구나!” 등 구글을 향한 비난을 쏟아냈다.

중국에서 구글에 대한 비난이 잇따르는 이유는 중국 정부가 관영 언론매체와 웹사이트들을 결집, 최근 미국과 중국 사이에 벌어진 여러 갈등을 구글 문제와 한데 묶으려 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정부도 구글 검색서비스의 중국 본토 철수 소식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마이크 해머 대변인은 “구글과 중국 정부가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한 데 실망했다”면서 “구글의 결정은 자신들에게 이익이라고 여겨지는 부분에 근거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미-중 관계는 서로 차이를 인정할 만큼 성숙했다”면서 “중국과 상호 이익이 되는 사안에 관해 협력을 확대하는 한편 의견 충돌이 있는 부분에 관해서는 솔직하게 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글은 해킹사건과 중국의 인터넷 검열을 이유로 지난 1월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겠다고 경고한 이후 중국 정부와 관련 논의를 진행했으나 결국 검색사업을 중국 본토에서는 철수하되 홍콩을 통해 ’구글 차이나’ 검색 서비스를 계속하는 우회 전략을 사용키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