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검색 엔진 구글이 22일 ‘구글 차이나’ 검색 서비스를 중국 본토에서 홍콩으로 옮겨 홍콩의 중국어 사이트 서버를 이용한 우회 서비스에 들어갔다.
AP통신 등은 지난 1월 이후 중국 정부와 검열 문제로 갈등을 빚어온 구글은 중국 측의 검열 행위를 막겠다는 당초 약속을 지키기 위해 중국 본토에서의 검색 서비스를 중단키로 한 것이라고 전했다.
홍콩은 엄연히 중국의 영토에 속해 있지만 ‘1국 2체제’ 방식에 따라 홍콩의 서버를 이용하는 구글은 중국 정부의 검열 규정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 구글은 그러나 중국 본토에서의 구글 차이나 서비스 중단을 선언하면서도 검색 광고 영업이나 연구ㆍ개발 부문은 그대로 존속시키기로 했다.
이는 중국 시장에서 검색 사업의 기술적 발판은 유지하겠다는 걸 의미하는 것으로 세계 최대의 인터넷 시장인 중국에서 ‘완전 철수’를 결정하기엔 미래의 손실에 대한 부담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구글은 중국 정부의 검열을 막겠다는 약속을 이행, 일단 ‘체면’을 살리는 동시에 현실적이고 금전적 이해도 고려하는 ‘절충적’ 방안을 선택한 셈이다. 따라서 구글의 다소 어정쩡한 이 같은 결정으로 구글과 중국 간의 갈등이 봉합될 수 있을지가 관심사로 등장했다.
구글의 결정에 대한 미국과 중국 측의 반응은 크게 엇갈린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은 인터넷판에서 ‘부러진 중국’이란 제하의 기사를 통해 “이번 사태는 중국 정부의 보호주의적 정책이 외국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중국 측이 갈등의 원인이라는 시각이 담겨 있다.
포춘은 “구글과 중국 정부 간의 다툼이 정점에 이르면서 중국에서 사업을 하고자 하는 글로벌 기업들에 교훈을 주고 있다”고 꼬집었다. AP통신은 중국 정부가 홍콩에서의 검색 서비스 이용을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중국 정부가 구글에 대해 모종의 보복 조치를 취할 여지가 있어 보인다는 것이다. 중국 측의 보복 조치가 가시화된다면 구글에 더 큰 어려움이 닥칠 수 있다. 중국 정부와 언론들은 구글의 결정을 일제히 비난하는 분위기다.
중국 언론들은 2006년 구글이 중국 시장에 진출할 때 검열 규정을 지킬 것을 스스로 약속해 놓고도 이를 어겼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갈등 사태의 책임이 구글에 있다는 논리이다. IT 시장 일각에선 중국 측이 표면상 구글을 비난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당분간 갈등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입장에선 검열 행위 준수 원칙을 관철한데다 구글에 대한 보복 조치가 가시화될 경우 대내적인 이미지나 다른 글로벌 기업들의 중국 투자나 진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