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중국 접고 홍콩으로 간다

우회적 제공…중국서 검색사업 지속 할 듯

구글이 중국에서 검색서비스를 홍콩 서버를 통해 우회 제공하는 묘수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중국에서 검색사업을 지속하면서 당국의 검열을 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구글은 검색 결과에 대한 검열을 중단하겠다는 약속은 지켰지만 앞으로 중국 사업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구글의 결정에 대해 중국 당국과 누리꾼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23일 구글의 기업개발부문 수석부사장 겸 최고법률책임자 데이비드 드러먼드는 블로그를 통해 “몇 시간 전부터 구글 중국사이트(Google.cn)의 검색, 뉴스, 이미지 등 검색 서비스에 대한 검열이 멈췄다”면서 “앞으로 구글 중국사이트로 접속하는 사용자들은 구글 홍콩사이트(Google.com.hk)로 바로 연결되며 중국어 간체로 검색 결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드러먼드 부사장은 이런 조치를 취한 이유에 대해서 “더 이상 검색 결과 검열을 놔둘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중국 정부는 ‘검열은 협상의 여지가 일체 없는 법적 요구사항’이라는 점을 주장해 새로운 접근법(홍콩 우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1월 구글은 자사와 20여 미국 기업이 중국에서 시작된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됐고 중국 관련 인권 운동가들의 지(G)메일 계정에 제3자가 정기적으로 접근했다고 폭로한 바 있다. 이후 구글은 “중국 시장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는 강경한 입장을 바탕으로 중국과 대화를 시도했지만 교착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구글은 중국에서 검색서비스를 철수하되, 연구개발(R&D) 활동 및 영업(세일즈) 부문 등을 유지할 방침이다.

이는 중국 정부의 검열 행위를 일단 피하면서도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서비스를 지속함으로써 실리를 추구하려는 전략이다. 전문가들은 구글이 중국에서 2억5000만∼6억달러(약 2835억2500만∼6804억6000만원)를 벌어들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향후 구글의 중국 사업이 원활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AP는 “검열을 피하는 행위는 중국에서 구글의 성장을 더디게 할 것”이라며 “중국 정부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유튜브에 그랬듯 구글 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아예 막아버릴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언론과 누리꾼들은 비판도 만만치 않다. 구글이 지난 2006년 1월 웹사이트를 검열하는 것에 동의한 후 ‘Google.cn’을 설립한 것에 비판이 집중됐다.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 인터넷국의 한 당국자는 “구글이 중국 내 검색서비스를 중단하고 해킹 피해 책임을 중국에 돌린 행위는 중국 정부와 명문화한 약속을 깨는 일이자 완전히 잘못된 일”이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구글이 중국 시장에 들어올 때 법에 따라 ‘유해 콘텐츠’를 검열하기로 약속하고는 갑자기 약속을 깨려 한다면서 “이는 완전히 부당한 행위다. 변한 것은 중국의 투자환경이 아니라 구글 자신”이라고 지적했다.

황지혜기자 gotit@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