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이 우리나라에서 출시된 이후 모바일 시장과 환경이 급변하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 특히 단말기 제조사들이 새롭게 직면한 도전 앞에서 허둥대는 듯한 모습이나 돌파구 모색에 부심하고 있는 모습은 안스럽기까지 하다.
국내 기업의 이런 모습과는 다른 구글의 행보는 한번쯤 눈여겨볼 만하다. 구글은 그동안 유지했던 오픈(Open)이라는 기조와 함께, 제품개발, 설계 및 판매에 깊게 관여하면서 심혈을 기울여 만든 넥서스원(Nexus One)이라는 폰을 출시하게 된다. 일각에서는 ‘아이폰 대항마의 하나’ 혹은 ‘아직은 아이폰을 앞서기는 힘들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성급한 판단이 아닐 수 없다. 구글이 아이폰을 잡기 위해서 넥서스원을 출시했다는 생각은 구글 자신에게는 분명 독이 될 수 있다. 물론 더 나은 하드웨어로 무장했으며, 아이폰 이후 출시한 데 따른 후발주자의 장점을 살려 보다 개선된 폰을 만들었을 것임은 자명하다.
하지만 구글은 아이폰을 잡는 것보다는 안드로이드의 가능성을 테스트하는 데 주안점을 두는 것 같다. 안드로이드는 오픈 플랫폼이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에 특화된 플랫폼으로서 구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다양한 웹 앱을 무리없이 소화할 수 있으며, 다른 플랫폼보다 더 빠른 성능과 미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구글의 전략을 온전히 이해하고 폰을 제조해줄 제조사가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구글은 앞장서서 안드로이드의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HTC와 함께 넥서스원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했던 아이폰의 대항마(?)라는 수식어가 구글 스스로에게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새로운 시장과 새로운 에코시스템을 창조해야 앞으로의 모바일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뜻이다. 만약 어느 국내 단말기 제조사가 아이폰의 기능 몇 가지만 앞선다고 아이폰을 누를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아직도 공유와 오픈, 참여의 아이콘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토트 블로거 ‘Helloska’ / http://helloska.tho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