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국가단위의 스마트그리드를 구축하기로 하고 이의 실현방안으로서 분야별 역할을 명확히 한 바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에너지 환경문제, 산업계 차원에서 차세대 신성장동력 육성 및 소비자 차원에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을 확산하기로 로드맵을 수립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시스템 기능이 요구될 것이다. 즉, 소비자의 능동적인 참여, 전력 저장장치의 기술개발, 가격경쟁 및 사이버 공격의 보호장치 개발 등이 선행돼야 한다.
지금 제주지역은 스마트그리드 시범도시 구축에 한창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보기술과 에너지기술이 접목된 시범도시가 구축되고 나면 가정에서 인터넷으로 사용전력과 요금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해 전기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실시간 수요반응을 이용한 수요자원 시장의 확대는 국가자원의 최적배분과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에 기여할 것이고 이를 통해 탄소 배출량 감축은 물론이고 미래 성장산업을 주도하게 될 것이다. 즉, 계통운영자의 요청에 의해 전기소비를 줄이는 과거의 수요관리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스스로 시장가격이 높을 때 가치가 낮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시장가격이 낮을 때 가치가 높은 에너지 소비를 늘리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그리드 사업 내실화를 위해 핵심요소인 전기 충전장치 개발 및 인프라 구축, 대규모 전력저장 장치 기술개발, 신재생설비 운용 최적화 기반기술, 태양광에너지 이용 극대화 기술 및 설비효율성 제고 등을 위한 제반 준비사항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스마트그리드 분야에서 선진국보다 앞서가기 위해서는 정부를 중심으로 산업계 및 연구계 등 우수한 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반드시 성공을 이뤄야 할 것이다. 우리 민족이 지니고 있는 특유의 승부근성과 근면성은 반드시 해 낼 수 있는 역량과 자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다시 한 번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