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방송콘텐츠 제작시스템 선진화를 위해 불합리한 외주제도를 개선하고, 안정적 제작환경을 위해 편성여부와 관계없이 사전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3D 방송의 확대에 맞춰 3D 방송콘텐츠 제작인프라와 제작인력 양성도 지원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종편채널 도입과 디지털화 등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비해 이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방송콘텐츠 제작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9일 발표했다.
문화부는 △방송콘텐츠 공정거래환경 조성 및 외주제도 개선 △방송콘텐츠 임금체불 해소 및 제작비 정상화 △방송콘텐츠 사전제작 시스템 정착과 해외시장 확대 등 3가지 과제를 중점 추진키로 했다.
외주제도 개선을 위해 방통위, 공정위 등 관계부처와 함께 ‘외주제작 개선협의회’를 4월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하반기까지 종합적인 외주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개선방안에는 표준계약서, 저작물 이용권리 및 수익 분배 기준 등이 담길 예정이다.
방송콘텐츠 사전제작 시스템 정착과 해외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제작지원 방식을 개선, 편성이 정해지지 않은 콘텐츠라도 내용이 우수한 경우 사전 제작을 지원키로 했다. 또 콘텐츠진흥원에 ‘방송콘텐츠 뱅크’를 구축하고, 콘진원이 해외 수출 등을 위한 유통대행을 맡는다.
미래 방송시장 선점을 위한 3D방송콘텐츠 지원사업도 진행한다. 단기적으로 상암동 디지털매직스페이스(DMS)에 3D 방송장비를 도입하고, 중기적으로는 디지털방송콘텐츠 지원센터 안에 촬영과 편집용 제작장비를 갖출 계획이다.
유인촌 문화부 장관은 “방송콘텐츠 제작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중점 추진해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완성도 높은 방송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제2의 한류를 견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