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온세·KCT, MVNO 잰걸음

 

 온세텔레콤과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이 가상이동통신망사업(MVNO)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11일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이 방송통신위원회에 사업신청서를 전격 제출하면서다. KMI가 참여사 모집에 난항을 겪고 있어 사업신청이 불가할 것이라는 게 관련 업계의 대체적 분석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가장 먼저 사태 파악에 적극 나서고 있는 곳은 KCT다. 대외협력실을 중심으로 동향 분석에 분주한 KCT는 일단 KMI의 실체가 당초 예상보다는 커지고 있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KCT 관계자는 “좀 더 두고 봐야겠지만, 일단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4개사보다 많은 수의 업체로 KMI 참여 플레이어가 급속 확대된 것은 맞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당초 태광 티브로드의 MVNO 사업 주도에 반기를 들어온 CJ헬로비전 측도 MVNO 도매댓가 산정 작업에 공동 참여하는 등 최근 들어 KCT는 내부 연합전선을 공고히 하고 있다.

 온세텔레콤 역시 KMI 등 대외 동향 분석에 주력하면서도 신사업 전략 구상을 본격화하고 있다.

 온세는 현재 전국망을 가진 3∼5개 유력 유통업체 및 금융기관 등과 물밑 접촉을 진행중이다. 기간통신사업자는 물론이고, 이통사간 네트워크 연동 경험도 풍부한 온세지만, MVNO의 핵심인 유통 네트워크망의 부실을 컨소시엄 참여사를 통해 극복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재무적인 문제까지 해결한다는 게 온세 측 복안이다. 유동성 악화로 모기업(대한전선)의 지원은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온세텔레콤 관계자는 “도매댓가 산정에 대한 방통위 고시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참여사 섭외작업에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회피가능비용 산정 등에 대한 해외사례 취합 등 다각적인 대응책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MVNO 추진 현황

업체명 장점 단점

온세텔레콤 망개방형 무선인터넷 사업(쏘원)으로 이통사와의 연동 사업 경험 모기업(대한전선)의 지원 취약

KCT 1500만 가입자 기반 확보 태광·CJ 등 참여사간 내부 이견

자료: 양사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