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LCD 승인,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라

 정부가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의 중국 LCD 공장 설립 건에 대해 비공개 논의를 갖는다고 한다. 지식경제부는 오는 9일 김경식 무역투자실장을 단장으로 한국-중국·대만 간 경제협력기본협정(ECFA)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 발족 회의에서 이 문제를 다루기로 했다.

 비록 단순한 상황 파악 수준에 그칠 수도 있지만, 중국 정부에 비공식적인 입장을 전달할 지도 관심사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너무 많은 기업이 대형 LCD 공장을 자국에 설립하면 중복 투자, 공급 과잉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투자 의사를 밝힌 기업 가운데 일부만을 허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LCD 기업은 세계 1위 LCD TV 소비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시장을 겨냥해 지난 2월 중국 정부에 공장 설립 서류를 제출했다. 업계나 정부는 당초 4월께면 중국 정부의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승인 작업은 계속 미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LG디스플레이의 중국 투자는 물론이고 연관 국내외 투자 일정 자체가 연쇄적으로 차질을 빚고 있다. 삼성전자는 내년 3분기에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승인 작업이 지연되면서 사실상 연기가 불가피하게 됐다. 중국 공장 설립이 불투명해지면서 국내 투자 역시 차질을 빚고 있다. 중국 투자 여부가 결정돼야 전체적인 구조에서 투자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승인이 미뤄지면서 일부 근거 없는 소문도 양산되고 있다. 중국과 대만 언론에서 익명을 이용해 ‘누가 인센티브를 포기했다’ ‘누구만이 승인을 받을 것’ 등의 내용이 우리나라에 전달되면서 국내 업계를 이간질하는 모습이다.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때다. 왜, 무엇 때문에 중국 정부가 승인을 미루는지 파악하고 우리 정부의 입장도 전달해야 한다. 지난해 말 아부다비 원전 수주는 기업과 정부가 함께 기울인 노력의 결과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