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은 우리나라가 중국과 정식 수교를 맺은 지 꼭 18년이 되는 날이다.
당시로선 해외여행 제한이 풀린 지 얼마 되지도 않았거니와 한국전쟁 이후 오랜 적대관계로 상호 여행조차 꺼려지던 시절이었다.
그랬던 중국이 20년도 안되는 사이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이 됐다.
정치적인 관계를 떠난다면, 우리나라에는 없어서는 안 될 경제적 우방이 된 것이다. 중국은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유지해 온 경제성장 기조와 세계 최대 생산력을 바탕으로 얼마전 세계 2위 경제대국에 올라섰다.
무엇보다 달러화의 지속적 약세 속에 위안화의 균형추 역할을 강조하며, 글로벌 양강 구도(G2)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이렇게 막강한 파워와 소비력을 가진 시장을 바로 곁에 두고 있는 우리로선 커다란 행운이라할 만한다.
그러나, 이 또한 앞으로는 모를 일이다. 18년 만에 중국이 적대국에서 우리에게 축복같은 시장으로 바뀌었듯, 앞으로 우리 녹색성장에 커다란 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온실가스 배출국이면서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규제 움직임에 동참하겠다는 `시늉`만 하면서 `강심장` 태도를 견지해 오고 있다.
중국 정부가 자국은 아직 개도국 신분이라서, 온실가스 국제 규제 대상이 아니라는 명분을 내세우지만 이 또한 오래 버틸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문제는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 전환되면서, 우리 또한 주요 제조업 기반을 중국에 옮겨 놓은 상황이란 점이다. 앞으로 중국에 대한 전세계적인 환경 규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면, 중국에서 만든 우리 제품 또한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시련을 맞을 수도 있다.
특히, 우리 제품이 잘 통하는 유럽은 세계적으로 까다로운 환경 기준과, 소비자들까지 엄격한 녹색 소비기준을 실천하고 있다. 우리 제품이 중국에 휩쓸려 `반 녹색`으로 지목 받는다면 지금의 시장장악력은 한 순간에 무너져내릴 수 있다.
중국을 우리 녹색 패러다임 전환의 확실한 동반자로 만들지 않는 이상, 미래의 양국 관계도 어떻게 변할지 모를 일이다.
그린데일리 팀장 ·
이진호기자 jho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