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망 중립성 개념을 세우자] 스마트TV를 둘러싼 국내 산업생태계

영역 간 크로스오버를 불러오는 스마트TV는 산업별로 첨예한 이해관계의 대립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사업자 · TV제조사 · 콘텐츠제공자가 모두 동의하는 생각이라면 `스마트TV 바람이 불어올 것`과 `스마트폰처럼 대응이 늦는다면 주도권을 뺏길 것`이라는 점이다.

이 점이 스마트TV의 활성화가 다소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에도 불구하고 사업자들이 초미의 관심을 쏟아 붓는 이유다.

TV 제조업계는 아이폰 신화를 TV에서 구현하고 싶어한다. OS와 TV 전용 앱스토어를 통해 스마트TV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생각이다. 삼성은 커넥티드 TV를 이미 출시했으며, 삼성앱스라는 이름의 앱스토어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TV 전용 앱스토어도 론칭했다. 또 미국 훌루와 같은 각 지역의 콘텐츠 사업자와도 제휴를 맺었다. 독자 OS인 `바다`도 개발했다.

LG도 TV 전용 앱스토어를 오픈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IPTV용 셋톱박스가 내장된 디지털TV와 인터넷TV도 출시한 바 있다.

IPTV와 케이블사업자들도 스마트TV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현재는 VoD를 비롯한 콘텐츠를 강화함으로써 TV의 스마트화에 대응하고 있다. TV에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대부분 방송사업자들이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방송사업자들의 행보는 무시할 수 없다. 더욱이 가입자들은 결합상품을 통해 이들 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망 중립 논의의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VoD의 수익이 방송사업자들에게 돌아가는 것처럼 스마트TV에서도 어떤 형태로든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의 수익이 이들 사업자에게 돌아올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를 원한다. 스마트TV가 나온다면 앱스토어도 사업자 중심으로 구성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TV제조사나 구글과 같은 OS 제공자, 방송사업자들 모두 경쟁력은 앱스토어에서 판가름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제휴와 포트폴리오가 한발 앞선 경쟁력을 갖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앱스토어를 구성하는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자의 몫이다. 그런만큼 콘텐츠제공자들의 행보도 심상치 않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국내외 VoD 판권을 강화하고 있다. TV포털도 지상파 방송 중심으로 구축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의 행보는 더 앞서 있다. 이미 모바일에서 실시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까지 출시해 놓은 상태다.

스마트TV가 나온다면 가장 먼저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는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영상전화를 들 수 있다. 대형 스크린을 통해 통화한다면 마치 한 공간에 있는 것처럼 생생함과 친밀감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이미 대형 스크린을 통한 영상회의 시스템에서 검증됐다.

이미 LG와 파나소닉은 스카이프와 제휴해 무료로 고화질의 영상전화를 할 수 있는 TV를 2010년 CES에서 선보였다.

여기에서도 3자의 역할이 명확히 드러난다. TV 제조사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뿐 아니라 통신사업자의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고화질의 영상전화를 감당할 수 있는 트래픽(네트워크)이 보장돼야 하기 때문이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