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서울에서 열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참가국들은 환율 갈등를 해소해야 한다고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가 22일 밝혔다.
EU집행위는 이날 G20 정상회의 준비 문건을 통해 "우리는 서울에서 (환율 갈등 해소를 위한) 강력한 실천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환시장의 현 갈등을 푸는 상호협력적이고 지속적인 대책을 내놓기 위한 명확한 정치적인 약속이 나오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EU집행위는 "각국은 시장의 실제와 맞지 않는 환율정책을 운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G20은 경제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합심해서 부양정책을 실시했지만 선진국의 성장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일부 신흥국이 수출경쟁력을 위해 환가치를 낮게 유지하자 국가간 공조가 흔들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과 유럽은 중국을 막대한 규모의 환시장 개입을 일삼는 국가로 보고 있다.
이같은 환율 억제로 중국은 2조6천500억달러라는 막대한 외환을 보유하게 됐다는 게 서방의 시각이다.
EU집행위는 이에 따라 "모든 주요 경제국은 경제 재균형을 이루기 위해 자신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선진 적자 경제국`, 즉 미국은 저축률을 높이고 개방경제를 유지한 가운데 수출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한편 중국을 뜻하는 `신흥 흑자 경제국`은 내수를 진작하고 보다 신축적인 환율 계획을 운용해야 한다고 EU집행위는 권고했다.
조제 마누엘 바호주 집행위원장과 헤르만 판롬파위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이번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이같은 EU의 입장을 대변하게 된다.
한편 경주에서 열리고 있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장관회의)에 참석중인 미국의 한 관리는 로이터통신에 경상수지에 대한 목표 수치를 정하자는 미국의 제안이 G20 성명에 포함되리라는 기대는 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23일 밝혔다.
수지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자는 미국의 제안은 독일과 원자재 수출국을 포함한 여러 흑자국의 반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외신들은 이번 G20 경주 회의 성명에 경쟁적인 환율 절하를 자제하고 시장지향적인 환율정책에 힘을 쏟는다는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보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