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견기업 지원 생색내기 안된다

국내 금융정책기관들이 앞다퉈 중견기업 챙기기에 나섰다. 우리 경제의 허리를 튼튼히 하기 위해서는 중견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요 금융공공기관들은 `프런티어 챔프` `트레이드 챔프스 클럽` `히든챔피언` 등 비슷한 명칭을 사용하며 경쟁적으로 중견기업 지원에 뛰어들었다.

중견기업을 지원하고 육성해야 할 이유는 분명하다.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돼야 우리 경제 패러다임이 건강해진다. 매출을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매출 1000억원 이상을 올린 중견기업 수가 총 242개다. 이들 1000억원 중견기업의 총 종업원 수는 8만9000명, 총 매출액은 47조8000억원으로 GDP의 4.49%를 차지한다. 전년도 대비 매출액 증가율도 17.15%로 유가증권시장 평균 매출증가율(-0.27%)은 물론이고 대기업의 0.73% 수준을 훨씬 웃돈다. 중견기업들이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동력으로 확실히 자리 잡았음을 입증하는 대목이다.

국내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 중 상당수는 이미 세계 수준에 올라 있다. 그러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지닌 중소기업들이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숙제가 바로 글로벌화다. 매년 수많은 벤처기업이 새롭게 창업하지만 글로벌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사례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중견기업 지원은 이미 성공한 회사에 포상하거나 기관의 인증서를 붙이는 방식으로는 안 된다.

정책기관들이 마치 시중은행의 VIP 고객관리와 같이 검증된 곳만을 중점 지원하려고 해서도 곤란하다. 정부 시책에 맞춘 `생색내기`가 아니라, 성장잠재력이 큰 중소벤처기업을 발굴, 그 업체가 원하는 내용을 지원하는 맞춤형 제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