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이냐 중독이냐의 단순 잣대로는 게임 관련 문제에 제대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최훈석 성균관대 심리학과 교수는 “게임은 현대 문화의 주요한 여가고 이미 대부분의 아이들이 즐기고 있다”며 “게임에서 좋은 효과를 보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TV나 PC, 휴대폰 등 다른 매체와 같이 게임 역시 순기능과 역기능을 함께 지닌다. 따라서 게임 문제는 `누가, 어떤 콘텐츠를,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는지 등을 다면적으로 봐야지 게임만 물고 늘어질 일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최 교수는 “게임 `중독`에 대한 우려가 높지만 사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스스로, 혹은 부모와 적절히 게임 이용을 관리한다”고 말했다. 5% 정도의 비율로 나타나는 문제 사례는 중독-치료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맞겠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에게는 게임을 즐기며, 게임의 순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그가 개발한 게임행동 종합진단척도 검사에 따르면 70% 이상의 청소년은 게임을 즐기며 특별한 문제를 겪지는 않지만 게임의 좋은 점도 살리지 못 하는 `비선용-적응` 그룹에 속한다. 학습 효과와 같이 TV나 영화가 갖지 못한 게임의 좋은 매체적 특성을 살리지 못 하는 현실이다.
이런 특성을 살리려면 게임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다. 그러나 게임 관련 논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게임 `중독`이란 개념조차 엄밀한 근거 없이 편의적으로 쓰이는 상황이다. 최 교수는 “흔히 게임 중독이란 표현을 쓰지만 이는 의학적으로 공인된 개념이 아니며 그 실체가 무엇인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며 “그에 대한 과학적, 학문적 연구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가정의 돌봄을 못 받는 청소년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만들고 상담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등의 정책을 디자인하는 것이 시급한데 정부는 부처 별 밥그릇 싸움만 한다”며 “공포를 부추기는 비생산적 논의보다 `공중 보건`의 차원에서 취약점은 해결하고 긍정 효과는 높일 종합적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