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업들의 3.4분기 실적 발표를 보면 속빈 강정이라는 표현이 옳을 듯 싶다.
3년래 최대의 실적을 올린 것으로 발표되고 있고, 이 같은 `어닝 서프라이즈`로 주가도 오르고 있지만 일부 기업들은 여전히 겁에 질린 소비자들과 높은 원자재 가격으로 내년에는 오히려 실적이 줄어들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 보도했다.
S&P 500 지수에 속한 기업들 가운데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은 60%를 넘어섰다. 이중 5분의 4가 전년 대비 순익과 매출이 늘었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의 순익 증가율은 평균 8.94%에 달해 3년래 가장 큰 분기 순익을 기록하고 있다. 또 판매도 평균 8%가 늘어나 2년래 최대 규모다.
그러나 이 기록에는 함정이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판매가 증가했다고 하지만, 그 기준이 되는 전년도의 매출이 낮았기 때문에 증가율이 높은 것일뿐 아직 경기 침체에서 회복하는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실제로 금년 3분기 S&P 500 지수에 속한 기업들의 매출 총액은 2조1천700억달러에 달하지만, 이는 금융위기가 본격화 되기 직전인 2008년 3분기 당시와 비교하면 여전히 1천700억달러 낮은 수준이다.
또한 여전히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고용 증진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3분기 GDP 증가율이 2%로 전분기의 1.7%에 비해 소폭 호전됐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현재의 10%에 육박하는 실업률을 낮추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더욱이 3분기 경제성장률은 기업들의 재고 축적에 따른 것으로 수요 증가에 따른 것이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WSJ는 4분기 기업들의 순익은 3분기 보다 줄어든 8.85%가 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특히 상당수 대기업들은 값비싼 원자재 가격과 소비자들을 끌기 위한 광고나 할인행사 등으로 인해 이미 큰 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또한 2008년과 2009년에 비용 절감을 위해 많은 직원들을 일시해고한 것이 지금까지 순이익에 반영돼 왔지만 비용 절감의 한계에 도달해 있는 현 상황에서 판매가 저조할 경우 기업들의 내년도 실적 호전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