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에 비해 20% 이상 저렴한 요금과 새로운 서비스로 무장한 제4 이동통신사가 내년 하반기 등장할 수 있을까? 지난 2일 방송통신위원회 허가가 무산된 한국모바일인터넷(KMIㆍ대표 공종렬)이 2주 만에 주요 주주를 보강해 재신청하면서 순탄하게 사업을 시작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KMI 측이 지난주 말 재허가 심사를 제출함에 따라 와이브로 허가 심사와 전파법에 따른 주파수 할당심사 작업에 착수했다.
제4 이동통신사로 불리는 KMI는 기존 이동통신사와 같이 막대한 자금(약 4조~5조원)을 투자해 전국 규모의 와이브로 네트워크(망)를 설치하고자 하는 사업자(MNO)다. 실제 서비스는 주요 주주가 KMI의 망을 임차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월 2만5000원에 스마트폰으로 음성과 데이터를 마음대로 쓰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KMI는 초기 납입자본금 규모를 기존 4600억원에서 5410억원으로 늘렸다. 재향군인회 등이 주요 주주로 참여했으며 사업 계획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에 따라 가입자 규모도 500만~800만명(2016년) 수준으로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210여 개 판매망과 대리점을 갖췄고, 검증된 와이브로 장비도 있기 때문에 허가만 받으면 연동테스트 2개월을 포함해 8개월 만에 준비를 마치고 내년 10월이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자신하고 있다.
실제로 KMI가 와이브로를 전국적으로 구축해 음성 통화를 사실상 무료로 하고 휴대전화에 컴퓨터를 연결시켜 인터넷도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경우 파괴력이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홍대형 서강대 교수는 "사업적인 부분은 모르겠지만 적어도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준비돼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KT와 SK텔레콤은 와이브로를 기존 망에 보강하는 측면이지만 KMI는 사활을 걸고 있기 때문에 경쟁 활성화 측면에서 (새 사업자 탄생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부와 통신 업계에서는 여전히 의혹의 시선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달 초 허가 심사위원회 의견을 들은 방통위는 대주주의 통신 사업 경험이 부족하고 사업계획이 비현실적(2016년까지 누적가입자 880만명 확보)이란 이유로 사업을 허가하지 않았다.
KT와 SK텔레콤도 사업 5년간 가입자를 45만명밖에 확보하지 못했으며 세계적으로 와이브로 서비스가 틈새시장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나치게 의욕적인 목표를 제시해 투자자를 모집했을 경우 부작용이 적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많다.
업계 관계자는 "일단 사업권을 획득해 가입자를 모아 놓고 추후 사업이 불투명해서 좌초된다면 정부도 책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신중하게 판단하는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매일경제 손재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