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심장질환 숨겨진 메카니즘 규명

 KAIST(총장 서남표)는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팀과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팀이 시스템생물학 융합연구를 통해 심장질환 원인신호전달경로의 숨겨진 메카니즘을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진은 수학 모델링과 대규모 컴퓨터시뮬레이션, 그리고 단일세포 분자 이미징 기술을 동원한 시스템생물학 융합연구를 통해 어크(ERK)와 지에스케이(GSK3)로 구성된 스위칭 회로가 칼시뉴린-엔팻 신호전달경로를 조절한다는 것을 새롭게 규명했다.

 칼시뉴린-엔팻(calcineurin-NFAT) 신호전달경로는 이러한 심근비대증의 유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근비대증은 다양한 병인에 의해 심근세포가 비대해지는 병리학적 현상으로 심부전증과 부정맥 등을 수반하는 주요 심장질환이다.

 연구진은 알캔이 세포내 농도가 낮을 때 칼시뉴린(calcineurin)의 기능을 저해하는 억제자로서 기능하지만, 그 농도가 증가하면 어크와 지에스케이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통해 칼시뉴린 신호를 오히려 증가시키는 촉진자로서 기능 하도록 세포내 조절회로가 진화적으로 설계되어 있음을 최초로 밝혔다.

 조광현 교수는 “신약개발 및 관련 심장질환 응용연구의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기존의 실험적 접근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생명현상을 대상으로 IT와 BT의 융합연구인 생체시스템모델링 및 바이오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원하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실육성사업과 도약연구사업, 그리고 칼슘대사시스템생물학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오브셀사이언스‘ 표지논문에 선정돼 내년 1월 1일자에 게재된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