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종편선정이 끝이 아니다

 지난해 마지막 날 열린 방송통신위원회70 전체회의를 끝으로, 길고도 지루했던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선정 절차가 마무리됐다.

 이해관계가 얽히고설킨 사안이었던 터라 선정 과정 만큼이나 후폭풍 또한 심할 것으로 우려된다. 당사자인 종편들은 물론이고, 미디어업계 전반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비등하다. 정치권과 시민단체들도 물론 가세하고 있다.

 사실상 당사자 격인 정치권과 미디어업계뿐 아니라 자의 반 타의 반 종편 컨소시엄에 끌려들어간 소액출자 기업들도 당초 예상했던 한두 곳이 아닌 무려 4개의 종편과 1개 보도채널 선정으로 막막함을 감추지 못한다. 기업들이 양해각서를 교환했던 모든 컨소시엄에 실제로 투자를 집행할지는 미지수지만, 이번 종편 및 보도 채널 선정 결과는 산업계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업계는 더욱 심각하다. 방통위가 주창해온 대로 미디어시장의 빅뱅은 본격화될 것이지만, 과연 긍정적인 방향으로 빅뱅이 일어날지는 불투명해졌다.

 협소한 국내 미디어시장에 기존 지상파와 맞먹는 종편이 4개나 더 탄생함에 따라, 공멸의 경고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기존 미디어와 신생 종편 모두가 살아남기 위해 본연의 의무를 등지고 시장을 흐리는 사태도 예견된다. 벌써부터 멀티모드서비스(MMS228) 등이 거론되며 이해당사자 간 힘겨루기는 시작됐다.

 일단 ‘방통위 설립 목적 아니었냐’는 이야기가 나올 만큼, 출범 이후 방통위 주변을 뜨겁게 달궜던 종편채널 선정은 일단락됐다. 얼핏 이제 종편과 관련한 방통위의 역할은 끝이 났고, 부담도 털어버린 듯 보인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31일로 마무리된 것은 종편 선정 절차일 뿐이고, 진짜 전쟁은 지금부터다. 사활을 건 종편과 기존 방송사들의 싸움, 그리고 기존 미디어들의 가중되는 부담에서 방통위는 결코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