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정부통합전산센터 DR체계

 각 정부부처의 정보시스템을 통합 운영하고 있는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일반 기업들보다도 재해복구 체계에 더 많은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다. 민감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재해 및 재난으로 시스템이 중단될 경우 대국민 민원 서비스 등 국정 업무 전체를 마비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지난 2007년부터 각종 재해·재난 대비 업무연속성 확보를 위해 ‘재해복구 체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위기 대응을 위한 IT 체제를 구축해 왔다. 최근에는 백업전용 제3전산센터 구축을 위한 방침을 확정하고, 타당성 조사도 곧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통합전산센터는 국가 업무의 중요도에 따라 티어 1(Tier1)에서 티어 7(Tier7)까지 등급을 나눠, 등급별 복구 및 업무재개 시간을 차별화하고 있다. 티어 1이 가장 중요한 핵심 업무에 속한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이러한 재해복구 체계 구축 작업을 지난 2007년 ‘재해복구 체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며, 오는 2012년까지 구축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핵심 업무로 간주하는 것은 안보, 외교, 통일, 치안, 재정 등이다. 이들 핵심 업무들은 티어 1에서 티어 3까지 등급을 나눠 대전 통합전산센터와 광주 통합전산센터간 상호 실시간 백업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전체 업무의 23.4%에 해당된다.

 핵심 업무를 제외한 76%의 업무는 티어 4에서 티어 6 등급으로 분류해, 별도의 백업 및 소산정책을 수립해 원격지에 분산 보관하고 있다. 이 외 나머지 0.6%에 해당하는 티어 7의 업무는 재해시 복구를 하지 않는 데이터에 해당된다.

 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의 재해복구시스템은 액티브(Active)방식과 스탠바이(Stand-by)방식 두 가지 형태를 혼합해 운영하고 있다. 특히 주 전산시스템은 재해·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업무 재개를 할 수 있도록 액티브 방식으로 재해복구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재해복구시스템을 평상시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액티브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재해복구시스템은 배치(Batch)작업과 자료 발췌 등의 업무에 활용하고 있고, 재해 발생 시 즉시 주 시스템으로 전환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스탠바이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재해복구시스템은 대부분 개발 및 테스트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 재해복구 기능 수행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발, 교육용 등으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각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정부통합전산센터는 밝혔다.

 정부통합전산센터 김동석 운영정책과장은 “오는 2012년까지 단계별로 재해복구 대상 시스템을 모두 구축 완료할 예정”이라며 “각 부처 및 예산관련 부서와 공동으로 대국민서비스 영향분석 등을 통해 재해복구시스템의 등급을 조정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