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루바 네트웍스, 시스코 Wi-Fi 에 적용가능한MDAC솔루션 출시

2011년 5월 2일, 서울 – 무선랜과 보안 모빌리티 솔루션 분야의 세계 선두업체인 아루바 네트웍스 코리아(지사장 김영호 www.arubanetworks.com, 이하 아루바)가 시스코의 Wi-Fi까지 관리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Mobile Device Access Control, 이하 MDAC)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제 아루바 MDAC을 통해 시스코의 Wi-Fi 고객들도 디바이스에 특화된 정책 집행, 가시성 확보 및 디바이스 자가 인증을 포함하는 BYOD (bring-your-own-device)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디바이스를 업무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안전한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는 ”BYOD 현상”은 현재 IT 업계의 가장 주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아루바 MDAC은 자동 프로비저닝을 포함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 관리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시스코의 Wi-Fi 네트워크에도 적용 가능하다.

시스코 Wi-Fi에 적용 가능한 아루바 MDAC 솔루션의 구성

• 아루바OS 6.0.1이 탑재된 아루바 모빌리티 컨트롤러 - 시스코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확인하고,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네트워크 정책을 달리 적용.

• 디바이스 사용량 및 트랜드를 리포트 해주는 아루바 에어웨이브 7.3버전 (선택 가능)

• 애플 iOS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로터치 및 안전한 프로비저닝을 제공하는 아루바 아미고팟 3.1버전 (선택 가능)

아루바 MDAC은 기존 시스코고객을 포함한 모든 고객들이 Wi-Fi 네트워크를 최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와 인증 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시스코 고객들은 기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비들을 교체할 필요없이 아루바 MDAC을 추가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절감된 비용으로 BYOD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시스코의 트러스트섹 솔루션을 실행하는 것보다 85%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최적화(Network Rightsizing)를 통해 고객들에게 보다 명확한 혜택을 선사할 수 있다. 시스코 Wi-Fi 네트워크를 위한 아루바 MDAC 솔루션은 가볍고 자율적인 액세스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코 하드웨어에도 별개로 운영할 수 있다.

아루바 MDAC 과 달리, 기존 시스코의 Wi-Fi 고객들에게 요구되는 시스코 트러스트섹으로 상황인지 네트워크를 구축 하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를 거쳐야 한다.

1. 시스코 액세스 컨트롤 서버(ACS)와 시스코 NAC(네트워크 승인 보호)을 시스코 아이덴티티 서비스 엔진(ISE)으로 교체한다.

2. LAN에서 상황인지 네트워킹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스코 X-시리즈 스위치로 업그레이드 하고, 지사용 네트워크에서는 시스코 ISR G2 라우터로 업그레이드 한다.

3. 시스코 “fat” AP를 시스코 5508 WLAN 컨트롤러 + AP로 교체하거나, 시스코 4400 시리즈 컨트롤러를 5508 컨트롤러로 업그레이드 한다.

4. 유/무선 LAN에 맞는 시스코 ASA/VPN 방화벽 어플라이언스를 설치한다.

5. 모바일 디바이스에 시스코 애니커넥트(AnyConnect)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아루바 코리아의 김영호 지사장은 “스마트폰 사용자 1000만 시대를 맞아, 자신의 디바이스를 업무에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간편하고 안전한 네트워크 액세스에 대한 요구도 더욱 증가하고 있다. 시스코의 Wi-Fi까지 관리 가능한 아루바 MDAC의 탁월한 기능은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IT 담당자들의 업무까지도 최적화하고 효율화 한다. 아루바는 3월 말 소개한 MOVE™ 아키텍처를 필두로, 비즈니스에 실질적인 혜택을 주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가트너가 2011년 2월 발표한 보고서 “LAN 스위칭 아키텍처에 대한 재고(Rethinking LAN Switching Architectures)”에서 가트너의 마크 파비(Mark Fabbi) 부사장은 “계속해서 높은 기술력과 고가의 전통적인 접근방식으로 캠퍼스 LAN 아키텍처에 많은 비용을 들이지 말고, 기존에 투자한 것에 대한 수명을 연장할 방법을 모색 하라”고 말하며, “서버와 데이터센터 통합, 그리고 가상 데스크톱과 클라우드 컴퓨팅은 네트워크에대한 요구사항을 변화시켜 왔다. 기존 인프라의 대부분을 업데이트 하여 바꾸는것 보다, 중앙 오버레이로서 기존 인프라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나갈 방법을 찾는것이 좋다”라고 덧붙였다.

리포트 전문보기: http://www.arubanetworks.com/inc_infospider/templates/html/sem/move2_signup.php

MDAC – 운영 방법

아루바 MDAC솔루션을 통해, 시스코 Wi-Fi 네트워크와 함께 설치된 아루바 모빌리티 컨트롤러가 스마트폰과 타블렛의 네트워크 액세스와 대역폭을 관리하기 위해 디바이스 핑거프린팅 기술을 이용한다. 중앙집중 아루바 아미고팟 액세스 매니지먼트는 안전한 웹 인증을 통해 직원 소유의 디바이스 프로비저닝과 EAP-TLS 사용자 디바이스 인증서 전달을 자동화 하는데 이용 된다. 또한 아루바 MDAC 솔루션은 시스코 Wi-Fi 네트워크 내 모바일 디바이스의 타입과 숫자를 파악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수용량 계획과 문제 해결을 용이하게 한다.

아루바 마이그레이션

기존의 네트워크에 오버레이로 MDAC 솔루션 같은 아루바 MOVE 아키텍처의 특정 구성 요소들을 설치한 IT 조직은 동일한 솔루션 요소를 이용해 더욱 향상된 Wi-Fi 액세스등 부가적인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시스코 네트워크를 위한 아루바 MDAC에 대해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면 된다. http://www.arubanetworks.com/solutions/by-application/BYOD-services-on-your-existing-wi-fi/

◆ 아루바 네트웍스에 대하여

아루바 네트웍스는 분산형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분야의 글로벌 선두기업이다. 캠퍼스, 지사, 무선 재택근무자, 모바일 솔루션 분야에 걸친 아루바의 수많은 수상 경력은 업무를 간소화시키고, 사용 장비∙ 사용자의 위치 또는 네트워크에 관계없이 기업의 모든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음을 보증한다. 이는 기업의 자본 및 운영 비용을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준다.

아루바는 나스닥과 러셀 2000®(Russell 2000® Index)에 상장되어 있다.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북미, 유럽, 중동, 아태지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아루바 네트웍스 홈페이지(www.arubanetworks.com) 또는 페이스북(www.facebook.com/arubanetworks), 트위터 (@ArubaNetworks), 그린아일랜드 뉴스 블로그(greenislandnews.blogspot.com)를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

ⓒ 2011 Aruba Networks, Inc. 에어웨이브®(AirWave®), 아루바 네트웍스® (Aruba Networks®), 아루바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시스템®(Aruba Mobility Management System®), 블루스캐너(Bluescanner), 포 와이어리스 댓 웍스®(For Wireless That Works®), 모바일 에지 아키텍처(Mobile Edge Architecture), 사람이 움직이면 네트워크도 따라 움직여야 합니다. (People Move. Networks Must Follow.), 모든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가 비즈니스를 위해 열려있습니다. (The All-Wireless Workplace Is Now Open For Business), RF프로텍트(RFprotect), 그린 아일랜드(Green Island), 모바일 엣지 컴퍼니®(The Mobile Edge Company®) 등은 모두 아루바 네트웍스(Aruba Networks, Inc.) 고유의 브랜드입니다. 모든 저작권은 아루바 네트웍스에서 소유하고 있습니다.

###

자료 문의

아루바 네트웍스 코리아 김정아 과장 / 02- 6000-8690/ jkim@arubanetworks.com

PR대행사 샤우트 코리아 홍승재 팀장 / 02- 6250-9820 / bruce@shoutkorea.com

정미라 과장 / 02-6250-9824 / mira@shoutkorea.com

전자신문미디어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