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원자력발전 체계가 시험에 들었다. 3·11 대지진 여파가 2개월째 주요 산업과 시장에 내재한 가운데 후쿠시마 제1, 제2 원자력발전소(원전) 10기를 비롯한 33기가 가동을 멈췄다. 가동률이 38.8%로 떨어졌다. 간 나오토 총리가 ‘가동 전면 중단’을 요청한 주부전력의 하마오카 원전 4, 5호기까지 멈추면 가동률은 35.1%까지 떨어진다.
원전 54기 가운데 19기만 가동하는 상황이 닥치면서 ‘일본이 원전 없이 얼마나 버틸지’에 시선이 쏠렸다. 다가오는 여름 전력 수요뿐만 아니라 당장 산업용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지 주목됐다. 그 성패에 따라 원전 필요성 논쟁의 향배가 갈릴 가능성이 크다. “원전의 전력 과잉 공급이 수요를 늘리고, 늘어난 수요가 원전 추가 건설을 부추긴다”는 환경운동계의 시각과 “원전 없이는 값싼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는 발전소 운영자 측 주장의 옳고 그름을 가를 것이다.
후쿠시마 원전 10기를 모두 잃은 도쿄전력에 시선을 좁히면 ‘원전 없는 전력 공급체계의 성패’가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쿄전력은 7월 말까지 화력발전소 등을 재가동해 전력생산량을 5500만kW까지 늘릴 것으로 내다봤다. 도쿄전력이 전력을 공급하던 지역의 최대 사용량을 소화할 만한 수준이다. 일본 정부가 도쿄전력 관할 구역 내 개인·가정·기업의 절전 운동을 통해 7~9월 동안 최대 300만kW를 절약할 태세인 것도 ‘꼭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도시바·신에쓰케미컬(실리콘웨이퍼제조업체)·캐논·소니 등 주요 기업의 올 여름 전력사용량 감축 목표치를 25%에서 15%로 낮추는 여유까지 생겼다.
원전 가동률이 30%대로 내려간 일본의 전력 공급 성패에 주목하자. 우리나라 원전 정책 수립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