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대구, 광주와 달리 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 경쟁 초반부터 한 발 빼놓고 관망하는 자세를 취했다. 이는 그간 부산이 과학벨트와는 별도로 추진해 온 ‘동남권 핵의과학특화단지 조성’이 어느정도 순조롭게 진행돼 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미 지난 해 암치료 전문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개원했고, 여기에 수천원억대의 치료용 중입자가속기와 수출형 연구로 도입도 결정돼 5000억원에 이르는 정부 자금 확보라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는 과학비즈니스벨트 내 중이온가속기 사업비에 버금간다.
부산 기장군이 기초지자체 차원에서 별도의 신청서를 내기는 했지만 10개 후보군에는 들지 못했다. 부산시는 과학벨트의 입지와 상관없이 원자력안전기술원 등의 유치에 주력하면서 국내 최대 원전 밀집지역인 고리원전 인근을 첨단 방사선 기술 중심지로 조성하는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경남 창원은 부산과 달리 일찌감치 독자적인 과학벨트 유치전을 벌여왔다. 창원은 과학벨트 입지로 창원시 진해구 웅동지구를 중심으로 연구기관과 산업클러스트가 골고루 형성된 창원지구를 제시해놓은 상태다.
실제로 창원은 LG전자, 삼성테크윈, 두산중공업 등 대기업 생산현장이 즐비한 창원국가산업단지와 함께 전기연구원, 재료연구소 등 정부 출연연까지 산업과 R&D인프라를 두루갖추고 있는 보기드문 지역이다. 김해공항, 부산신항, KTX에 남해고속도로까지 육해공 교통 수단이 모두 가깝게 연결돼 있어 교통 여건도 빠지지 않는다. 정주 여건 또한 기존 산업단지와 주거지역이 잘 구분돼 있어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반면 창원의 경우 R&D인프라와 산업집적도에서 국내 최고라 내세우기가 어렵다. 가까운 도시와 연계한 거점-기능지구에 대한 설계도 어렵다. 창원의 고민은 여기에 있다.
거점지역과 기능지구, 50개 연구단 등 네트워크형 과학벨트를 추진하는 정부 입장에서 볼 때 경남 창원으로의 거점지역 선정은 여러모로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는 지적이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kr
-
임동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