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의 입지로 대전 대덕이 유력하다. 정부는 16일 평가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과학기술계는 줄곧 국내 최대 연구단지인 대덕이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설치의 최적지로 여겨왔다. 세종시와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논란에 7년간 3조5000억원을 투입하는 거대 국책 사업을 유치하고자 하는 다른 지역의 희망이 맞물리면서 과학기술계의 주장은 뒷전에 밀려났다. 그 사이 국론은 분열되고 지역 갈등이 고조됐다. ‘과학벨트’가 아닌 ‘정치벨트’니 ‘형님벨트’니 하는 비아냥거림까지 받았다.
정부는 소모적인 논쟁을 자초한 측면이 있지만 결국 과학기술계의 의견을 존중했다. 순리(順理)다. 이명박 대통령은 충청권에 과학벨트를 두겠다는 대선 공약을 지켜 추락한 신뢰도 회복하게 됐다. 신공항 백지화를 포함해 원칙대로 간다는 현 정권의 굳은 의지를 표명한 것도 높이 평가할 만하다.
타 지역의 반발이 거세다. 그 상실감과 박탈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나 대덕을 최적지로 보는 게 과학기술계의 여론이었음을 지자체들도 받아들여야 한다. 충남권 민심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정치적인 결정이라는 비난은 터무니없다. 연관성과 산업 파급 효과 차원에서 가장 유력한 대덕을 젖혀놓은 것이야 말로 정치적인 접근이다. 정부의 합리적인 결정을 정치적 술수로 몰아붙여선 안 될 일이다.
정부는 이제 백년대계인 과학벨트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만들지 고민해야 한다. 정부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단 절반을 다른 지자체에 분산 배치할 방침이다. 대덕 연구단지와 다른 지자체 연구기관의 시너지 효과 제고 방안과 같은 세부 실행 계획을 빨리 내놓는 일이야말로 분열된 국론을 빨리 수습하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