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통신장비 공공기관서도 역차별

 국산 통신장비 업체들이 정부·공공기관으로부터도 차별받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시장 중 1% 남짓한 국내 통신장비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오정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래융합연구실 부연구위원은 17일 ‘KISDI 방송통신정책’(제23권 9호)의 ‘초점:국내외 네트워크 장비 시장 현황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공공기관 장비 구매 제안서(RFP) 211건을 분석한 결과 특정 회사 이름(29건)이나 제품(47건)·부품(33건), 조건(51건) 등 25%가 외국산 제품에 유리한 내용이었다.

 지식경제부도 지난해 10월 공공기관 제도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 민간에도 입찰제도, 유지·보수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권고했다.

 이유는 단순하다. 국산 장비는 인지도가 낮고 신뢰성과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불안감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이다.

 오 연구위원은 국내 장비 업체들이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익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시장에 진입할 것을 제안했다. 지금까지 국내 업체들 대부분은 댁내가입자망(FTTH) 장비, 외국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중계기 위주로 제품을 개발해왔다.

 이 장비들은 진입장벽이 낮아 중국·대만 업체와의 가격 경쟁에서 점점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코어망의 라우터, 백본망의 광 전송장비 ‘DWDM’ 등 고부가가치 장비로 눈을 돌려야 한다는 점이 지적됐다.

 보고서는 이를 위해서는 정부·공공 기관, 민간에 걸친 투자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끝을 맺었다.

 오은지기자 onz@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