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인터넷 와이브로 사업자인 KT와 SK텔레콤의 주파수 재할당 신청 기한이 3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SKT의 와이브로 주파수 유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KT가 와이브로 활성화에 얼마나 의지를 보일지와 그간 와이브로를 3세대(G)망의 보완재로만 활용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던 SKT가 어떤 전략적 접근법을 보여줄지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휴대역으로 남아 있는 30M의 재할당 여부도 관심사다.
29일 방송통신위원회는 내년 3월로 7년간의 와이브로 주파수 할당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오는 9월 25일까지 사업권자인 KT와 SKT로부터 주파수 재할당 접수를 받는다. 방통위는 연내 위원회 회의에서 재할당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KT 고위 관계자는 “4세대(G) 전략으로 와이브로와 LTE(롱텀에볼루션)를 병행하는 만큼 재할당을 요청하는 것은 물론이고 투자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했다. 반면에 SKT 고위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는 9월에 재할당을 신청할 계획이지만 별다른 추가 투자 계획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SKT가 추가 투자를 하지 않는 이유는 와이브로의 주 용처를 와이파이의 데이터 트래픽 분산용도로 인식하는 등 3G망의 보조재로 쓰려고 하기 때문이다. SKT는 6년간 와이브로에 8000억원가량을 투자했지만 가입자 수는 지난 4월 기준으로 8만명이 채 안 되는 등 와이브로 사업이 지지부진해 마케팅 역량을 쏟기에는 한계가 왔다는 고민이 적지 않다.
그럼에도 SKT가 와이브로 대역을 유지하겠다고 밝힌 이유는 당시 정부가 와이브로 활성화를 이유로 사업자의 참여의지를 독려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이용대가를 저렴하게 책정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SKT는 2006년 2.3㎓ 대역에 27㎒를 7년간 쓰는 데 1170억원을 지불했다. 이는 여타 주파수 이용대가의 30%에 불과한 파격적인 조건이다. 지난해 SKT가 받은 2.1㎓ 대역은 상향 10㎒, 하향 10㎒에 불과했지만, 6년 7개월가량 사용하는 조건으로 총 3400억원을 지불해야 한다.
주파수를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는 데다 향후 와이브로 주파수 용도에 대한 정책이 바뀔 수 있고 경쟁사업자인 KT가 와이브로를 활성화하면 시장 상황도 반전될 수 있다는 점을 볼 때 유지하는 게 더 득이 된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최근 주파수 부족 문제가 부각되며 방통위도 실무 차원에서 와이브로 주파수 재배치 여부를 논의 중이라 SKT의 의지와 무관하게 일부 대역을 반납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방통위 입장에서 30㎒에 달하는 적지 않은 양의 주파수를 사실상 방치하는 게 상당한 부담이기 때문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며 “다만 하나로텔레콤이 2005년에 반납한 30㎒의 유휴대역과 SKT의 대역 문제와 관련해 와이브로 활성화를 위한 최선의 방안이 무엇인지를 두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진욱기자 coolj@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