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한국형 헤지펀드 출범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증권사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증권사로선 향후 5년내 2조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6일 금융당국 및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을 위한 절차 마련에 나선 가운데 증권사들도 시장 선점을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헤지펀드는 주가 하락, 금리 상승 등 시장 방향성과 상관없이 예금 금리의 2배~3배를 추구하는 펀드다. 새로운 투자대안을 찾는 고액 투자자에게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되는 시장이다. 증권사들이 헤지펀드 탄생과 함께 가장 눈독을 들이는 시장은 프라임 브로커리지 업무다. 프라임 브로커리지란 헤지펀드를 상대로 자금대여, 대차·차입, 자금모집, 리서치 업무를 해주는 것로 해외 시장에서도 시장 규모가 큰 영역이다.
서보익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헤지펀드는 총 운용자금의 5%를 프라임브로커리지에 지불한다”며 “국내 헤지펀드 시장이 3∼5년내 현재의 자문형 랩 시장 규모인 40조원에 이를 것을 가정할 때 증권사로선 2조원의 수익원이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형 증권사의 영업수익이 2000억∼3000억원 안팎임을 고려할 때 2조원이란 거대시장이 생기는 것이다.
다만 정부 당국은 시장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기자본 요건을 마련해 라이선스를 허가한다는 방침이어서 라이선스의 혜택을 볼 수 있는 증권사는 4∼5개에 그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자기자본규모가 큰 대형증권사들을 중심으로 대응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우증권·삼성증권·현대증권·우리투자증권 등은 증권사내에 태스크포스(TF)나 전담팀을 구성, 전문가 영입·시스템 개발·재교육 등의 업무를 추진중이다. 대부분 대체투자(AI:Alternative Investment)팀을 마련해 올초부터 가동중이다. 헤지펀드가 주가지수선물, 채권지수선물, 상품선물, 외환선물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돼 여러 위험에 노출되는 만큼 운용에 대한 노하우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헤지펀드 운용사 설립이나 프라임브로커리지 라이선스 획득을 놓고 이득을 따지며 저울질에 들어간 상황이다. 금융당국이 신뢰성의 문제를 들어 증권사에 양쪽 라이선스를 모두 허용하지는 않을 방침이어서 헤지펀드는 운용사나 자문사가, 프라임브로커리지는 증권사가 맡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한편 서보익 연구원은 “안정적 수익을 기반으로 한 한국형 헤지펀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헤지펀드를 통한 국부 유출 차단은 물론 금융의 해외시장 진출도 꾀할 수 있다”며 “정부당국이 시장 초기부터 지나친 규제보다 폭넓은 틀을 마련해 시장의 순기능을 최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주요 증권사 헤지펀드 시장 대응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