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3차발사]발사체 개발 주체 및 자력개발 논란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나로호 일지

 “우주개발은 자력으로 해야 한다. 발사체 개발도 마찬가지다” “나로호 발사 실패가 연구원들만의 책임인가? 이 때문에 기관장이 중도사퇴 했다. 과제 성공 10%만 해도 잘했다고 하는데, 실패한 90%에 대한 책임을 매번 누가 다 질 것인가?”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1년을 맞아 발사체 개발 주체 및 책임소재 논란이 다시 점화됐다. 나로호 발사를 주도했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들은 요즘 속이 끓는다. 발사체 개발이 개방형 사업단 체제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연구원들 조직 위기론 팽배=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들은 개방형 사업단 구성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김준규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항공우주연구원 지부장은 “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 발사체를 책임질 개방형 사업단이 외부에 만들어지는 것에 대해 반대는 안하지만 조직간 충돌이 있을 것이다. 정부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현재 항우연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나로호 2단의 정기 점검을 진행 중이다. 이와 병행해 지난 5년간 한국형 발사체의 개념설계와 예비설계 등도 추진해 왔다. 관련 개발 계획서만 4000페이지를 넘고, 매달린 연구원만 200명이나 된다. 이들이 3개월째 공중에 떠있다. 정부가 계약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발사체 자력개발 했어야”=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지낸 한 관계자는 “정부가 쉽게 가려고, 러시아와 발사체 계약을 하면서부터 우리나라의 불행(발사체 실패)은 예견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고 지적했다.

 항우연의 또 다른 관계자도 “일본은 H2로켓을 개발하며, 연속 4회나 발사체를 실패한 적이 있다. 당시 발사체 주무장관이었던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수상은 이들 연구원을 찾아 내가 책임질테니 최선을 다해달라고 격려했다. 그 격려가 지금의 상용 발사체 강국 일본을 만들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사실 미항공우주국(NASA)도 1986년 우주왕복선 챌린저, 2003년 컬럼비아호가 공중 폭발했다. 미국은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에 자그마치 1500억달러나 쏟아 부었다.

 ◇“업계 인력은 떠나고”=한국형발사체를 오는 2021년 쏘기로 되어 있지만, 이에 대한 사업 진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자 난감해진 것은 관련 기업들이다. 사업계약이 지연되면서 고급인력의 인건비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인력의 이탈 조짐이 곳곳에서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 관련기업 관계자는 “정부가 사업을 중단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인력비를 감당할 수 없어 적자 사업으로 판단하고, 손을 뗄 수밖에 없는 처지”라며 “지속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사업을 꾸리기가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